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소행성 베누가 돌조각을 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베누는 22세기 말 2700분의 1의 확률로 지구와 충돌할
가능
성이 있는 지름 약 490m의 소행성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16년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를 보내 2018년 12월부터 베누를 근접 탐사하고 있다. 베누에서 돌조각이 떨어져 나오는 현상은 2019년 1월 처음 ... ...
코로나19 Q&A 리포트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꼽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보다 적은 수준이었다. doi: 10.3389/fmicb.2020.01800 Q 재감염
가능
할까? A “돌연변이와 중화항체가 변수” 8월 25일 홍콩대 연구팀은 지난 3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후 완치된 홍콩 국적의 환자가 8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다시 받게 된 사례를 보고했다. 연구팀은 첫 ... ...
[특집] 클라우드 속에서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가상 서버(컴퓨터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이 글에서는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는 365일 접속
가능
하고 성능이 뛰어난 컴퓨터를 서버라고 구분해 부른다)로 분할한다. 사용자는 작게 쪼개놓은 가상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렇게 가상화를 통해 컴퓨터를 분산 ... ...
[팩트체크] 인공물과 새의 충돌, 막을 수는 없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일부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높이 날지 않는 소형 조류종은 고층건물이나 항공기와 충돌할
가능
성이 없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이 부연구위원은 “사람이 걷다가도 필요할 땐 뛰는 것처럼 소형 조류종도 필요할 경우 충분히 높이 난다”며 “전체 조류의 관점에서 위험성을 평가해야 한다”고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우리나라 남해안에 서식하고, 알려진 것보다 이른 나이에 성성숙이 진행될
가능
성을 확인한 연구”라고 설명했다. 이 팀장은 “해양동물을 부검한 자료가 오랜 기간 쌓이면 더 다양한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만화로 배운 ‘오타쿠’ 일본어 친구들 힘입어 레벨 업!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한자는 자주 안 쓰는 것까지 포함하면 그 수가 어마어마하게 많아 전부 외우는 게 불
가능
하다. 그래서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2136자를 ‘상용한자’로 정해두고 일본어능력시험(JLPT) 등에서 테스트한다. 또 일본어에 쓰이는 한자는 같은 글자라도 그 뜻과 읽는 방법이 여러 개라 까다롭다.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구사할 수 있도록 만드는지 알아봤다. 저자의 아들이 그런 이중 언어 사용자였기에
가능
한 연구였다. 이 책에는 2018년 12월 저자가 사망할 때까지의 연구 결과물이 집대성돼 있다. 그를 통해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탐구해보자 ...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전국, 전 세계 규모로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필요하다”며 “초광역화가
가능
한 멀티 클라우드 기술이 이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멀티 클라우드는 전 세계 다양한 클라우드 공급자의 서비스를 동시에 쓸 수 있는 기술이다.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각 가장 적합한 ... ...
[수학뉴스] 격자를 구부리는 수학적 마법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설치했다고 가정합시다. 나무 막대가 연결된 부분들은 나사로 고정돼 있지만 회전은
가능
합니다. 그러면 이 평행사변형 구조물을 변형했을 때 별다른 뒤틀림 없이 내각이 다른 평행사변형이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각 변을 서로 평행하지 않게 만들면 아래 사진처럼 모양을 변형했을 때 뒤틀리면서 ... ...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두 분야 사이의 연결 고리를 찾은 거예요. ‘곱셈표’라는 대수적인 구조로부터 ‘미분
가능
한 정도’라는 해석학적인 구조를 복원할 수 있다는 사실은 수학에서 대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요. 김 교수님은 “가장 멀다고도 할 수 있는 두 분야이기 때문에 사이를 이어줄 수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