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2 필즈상 예측 ] 버리우 페테르 교수, 아이반 코윈 교수, 제이곱 치머만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6호
- 교수를 학회에서 자주 만난다는 김건우 POSTECH 교수는 “성격이 굉장히 좋고, 호쾌한 사람”이라고 설명했어요. 이지운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역시 “처음 만난 자리에서 먼저 인사하고 이름을 물어 오던 기억이 있다”고 말했어요. 이어 “깔끔한 발표 자료와 재치 있는 발표 능력도 코윈 교수의 ... ...
- [수학 기자의 책장] 기묘한 수학의 세계로 초대합니다!수학동아 l2022년 06호
- 기묘합니다. 어찌 보면 인류가 수학을 처음 시작하게 된 것 자체도 기묘하죠. 사람들은 어떻게 수를 셀 수 있었을까요? 돌 하나,양 한 마리,물 한 동이처럼 완전히 다른 대상을 수로 세려고 시도했다는 것 자체도 참 신기합니다. 은 수학의 신비로움과 알면 알수록 기묘한 수학의 ... ...
- [과학뉴스] 미국에서 GM 모기 실험 첫 성공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모기를 수컷에만 적용되도록 만든 이유는 사람에게 미칠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다. 사람의 피를 빨아먹는 암컷과 달리 수컷은 과일의 즙이나 수액을 먹고 산다.이번 실험으로 GM 모기의 효과가 증명됐지만, 이 연구가 바이러스 전파를 줄이는지를 검증했는가에 대한 논란은 있다. 토마스 스콧 ... ...
- [특집] 게임의 쓸모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쓸데없이 게임 하지 말고 공부해라”게임을 좋아하는 청소년 5명에게 자주 듣는 잔소리를 물었다. 모두 같은 말을 꼽았다. “커서 뭐가 되려고”도 다섯 명 가운데 네 명이 꼽 ... 과학입니다만BRIDGE 대학교에 e스포츠 경기장이?PART 3 돈 버는 중입니다만EVENT. LoL로 데이터 분석할 사람 ... ...
- [특집] e스포츠 경기장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우리나라 대학에 e스포츠 경기장이 생긴 건 이번이 처음이다.포스텍은 고대 로마 사람들이 함께 경기를 보면서 일체감을 느낀 데서 의미를 따 이곳에 콜로세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콜로세움만큼 크진 않지만 ‘e스포츠’답게 온라인으로 대규모 관중을 받을 수 있다. 메타버스 시스템으로 5만 ... ...
- [EVENT] LoL로 데이터 분석할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15일(수) 자정까지2 참여 링크: https://forms.gle/f9uPVfDUdREPWBXK8 이벤트 2. LoL로 데이터 분석할 사람~?3가지 이상에 체크했다면, 과학동아 ‘취미 코딩’에 참여해 보세요.취미 코딩은 평소에 즐기는 게임, 음악, 스포츠 데이터를 분석해보는 온라인 프로젝트입니다. 그리고 그 첫 번째 주제는 게임,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미지의 세계에서 영감을 얻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장소를 소개할 때다. 세상의 독특한 장소를 보여줄 때 보람차다. 사람들이 이곳을 알게 됐으면 좋겠다. 환경 보전은 먼저 자연에 아름다운 장소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상어 보전 이후로 하고 싶은 탐험은?아마존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페루의 ... ...
- [한 장의 기후위기] 흙 속에 묻힌 주민들의 시간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안전관리 제도도 2018년부터 순차적으로 마련됐다. 하지만 이미 설치된 시설 중에는 사람들의 삶을 위태롭게 하는 곳도 남아 있다. “우리가 가족처럼 키우던 강아지들도 산사태에 휩쓸려 흙 속에 파묻혔어. 아무리 짐승이라도 하나의 생명이고 가족이었는데, 아직 수습도 못해줬지. 농부로 ... ...
- 부검으로 사인 밝히는 ‘동물 국과수’를 찾다과학동아 l2022년 06호
- 대부분 국과수에 의뢰하고 있다. 이경현 수의연구관은 “국과수에서도 초콜릿처럼 사람에게는 무해하지만 동물에게 치명적인 약물은 검사할 수 없다”며 “동물에 특화된 분석기기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수의법의학센터가 생겨도 전문인력을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 ...
- [논문탐독] 식중독 세균 vs. 장내 공생 세균 장 속에서 벌어지는 전쟁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삶을 살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이 큰 보람 중 하나입니다. 또 저처럼 질병을 연구하는 사람에게는 숙주와 세균의 관계를 이해한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장보람. 서강대 생명과학과 분자미생물학 및 생물막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장내 미생물과 병원성 세균의 경쟁,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