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새들이 무리에서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집중했어요. 한계 속도란 물리적인 이유 때문에 넘을 수 없는 일정한 속도를 말해요.
사람
이 달릴 때도 한계 속도가 있어서 이상적인 환경에서 100m를 5~6초 미만으로 달릴 수 없죠. 찌르레기는 혼자 있을 때 초속 8m에서 18m까지의 속도로 날지만, 무리 지어 다닐 땐 초속 12m라는 한계 속도를 넘지 ... ...
[가상 인터뷰] 꿀벌도 홀짝 구별한다!
수학동아
l
2022년 07호
뉴런(신경세포)은 860억 개나 돼요. 제 뉴런의 수는 96만 개 정도밖에 안 되죠. 그런데도
사람
처럼 이토록 깊은 수학적 사고를 할 수 있다니 놀랍지 않나요 ... ...
[에디터 노트] 독자들과 코인을 캐는 상상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신청했습니다.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숫자였습니다. 그만큼 데이터분석을 배우고 싶은
사람
이 많다는 의미겠죠. 모집기간이 끝난 뒤로도 관심을 보이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7월 10일까지 추가로 문을 열어두려 합니다. 관심있는 분은 참여 바랍니다. (취미코딩 2차 모집 58쪽)취미코딩은 ... ...
[가상인터뷰] 세계에서 가장 작은 ‘로봇 게’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작은 공간에서도 움직일 수 있어요. 작은 구조의 기계를 수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죠. 또
사람
몸에 들어가서 동맥을 청소하며 내부 출혈을 멈출 수도 있어요. 암 종양을 제거하는 외과의를 보조할 수도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어요. 여러모로 저에게 거는 기대가 커요. Q. 더 빨리 달릴 ...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수도 있다. 따라서 서식지를 탐사할 땐 손님이 된 마음으로 다가가야 한다. 박쥐는
사람
과 달리 스스로 사는 곳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제주도 용암동굴은 땅과 바다를 잇고 있다. 동굴의 변화가 바다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탐험가 벤 호튼은 “현장 탐사를 통해 실제로 생태계가 연결돼 ... ...
‘내일의 마스크’ 찾기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사실 답답하고 불편했다. 얼굴 크기에 따라 마스크의 착용감도 달랐다. 안경을 낀
사람
은 마스크를 쓰면 안경에 김이 서리는 문제가 있었다. 입 모양을 봐야하는 청각장애인들에게 마스크는 소통을 차단하는 벽이었다. 이제는 고통스러웠던 2년을 지나 마스크를 벗어 던질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 ...
네, 그래서 이과가 힐링팩터를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반응하고, 자유자재로 헤엄칠 수 있을 정도로 원래와 같았습니다.아프리카발톱개구리는
사람
처럼 다 자란 다음에는 신체 재생능력이 떨어지는 동물입니다. 원래라면 다리가 다시 자라나지는 않았을 겁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포유류에 바이오돔을 적용할 방법을 연구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 ...
[기획] 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
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자동차가 80이라면 원전은 100인 수준”이라며 “원전 관련 소프트웨어 검증자는 적합한
사람
을 찾는 게 더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그래도 그는 희망을 되찾았다. 해외 원전 수출과 SMR에 대한 기대 때문이다. 유럽연합(EU)의 녹색산업 분류체계(그린 택소노미)에 원전이 조건부로 포함됐다. ... ...
쥬라기 월드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쥐 등을 잡아먹으며 살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작은 초식공룡은 포식자들이
사람
을 두려워하는 걸 이용해 도시에서 인간의 혜택을 볼 수도 있다”고 했다. 이어 “공원에서 힙실로포돈 등 작은 초식공룡을 쉽게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했다. 공룡은 한때 지구를 정복했던 적응력이 ... ...
[커리어] 교수님과 선배가 들려주는 바이오메디컬공학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관련 학과에 진학한 선배의 이야기도 들어볼 수 있었다. 이 씨는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
을 위해 연구하는 꿈을 가지고 진학했다”며 “고등학교 재학 시절엔 의생명공학과라면 생명과학을 잘하면 된다고 생각했었지만, 막상 입학해보니 생명과학을 잘하는 게 전부는 아니었다”고 했다. 이어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