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DNA"(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 대신 치아로 성별 확인과학동아 l2018.01.09
- 화석이나 오래된 사체의 성별을 파악할 때 DNA를 추출했는데, 오래된 시신일수록 DNA가 손상돼 있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법랑질은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부위로 수천 년이 지나도 부식이 거의 없다. 연구팀은 기원전 5700년, 7~9세기, 12~16세기, 19세기에 살았던 시신 13구의 법랑질에서 아멜로게닌을 ... ...
-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 과학동아 l2018.01.05
- 겨울방학부터는 정용원 KAIST 화학과 교수 연구실에서 단백질 연구에 참여한다. 단백질은 DNA에 의해 큰분자로 조립된 뒤 로봇처럼 여러 가지 일을 하는데, 어떻게 조립되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오 씨는 “고등학교 때 R&E에 실패했던 일이 오히려 이후 성적 향상의 계기가 됐다”며 ... ...
- 아메리카 대륙 처음 밟은 인류는 3만6000년 전 동아시아인!? 동아사이언스 l2018.01.04
- DNA를 추출한 뒤, 이를 짜맞춰 이 어린이가 살아 있을 때 지녔을 게놈 (세포 속 온전한 DNA 한 벌)을 복원했다. 이 게놈 속 유전자를 아시아와 유럽, 아메리카 대륙의 현생인류 167명의 유전자와 비교, 시간에 따른 유전자 변이를 역으로 추적했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북미 대륙에 처음 들어간 ... ...
- 소금기 농작물 피해 안녕! 염분 등 환경 스트레스 극복할 식물 연구 결과 나와동아사이언스 l2017.12.31
- 애기장대가 가진 총 세 가지 PMT가 언제, 어떻게 pEA로부터 포스포콜린을 형성하는지 DNA 해독과 생화학 실험을 통해 각각 밝혀냈다. 그 결과 세 PMT 중 하나인 PMT1이 식물의 뿌리에서 특히 많이 발견되며, 염분이 높아진 환경에서 더 활발히 활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효소가 식물의 생장에 핵심 ... ...
- [과학&기술의 최전선]체액서 스스로 헤엄치며 목표 찾아…‘나노로봇’ 암치료 새 희망동아사이언스 l2017.12.29
- 않고 조직 위를 ‘걷는’ 나노로봇 등이 있다. 올해 9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연구팀은 DNA 분자가 서로 결합하는 성질을 이용해, 인체 안 조직에 부착한 채 6nm씩 위치를 옮기며 주변을 탐사하는 나노로봇을 만들어 ‘사이언스’에 공개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 지능시스템연구소가 개발한 ... ...
- 인공 DNA로 단백질 만들다과학동아 l2017.12.29
- 만들었다고 ‘네이처’ 2017년 11월 29일자에 발표했다. 로메스버그 박사팀은 2014년 DNA를 구성하는 아데닌(A), 티민(T), 시토신(C), 구아닌(G) 등 염기 4개와 새로운 염기 X, Y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대장균에 주입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약 3년 만에 인공 염기를 가진 대장균이 아미노산을 합성하는 데 ... ...
- 중성자별 충돌 관측, 신종 오랑우탄...2017년을 빛낸 과학계 10대 사건동아사이언스 l2017.12.22
- 생물학 분야 논문은 1.5% 수준이다. 발 빠르게 진화한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 DNA와 RNA를 구성하는 유전자 염기서열에서 단일 염기 하나만 바꿀 수 있는 ‘염기교정 유전자 가위’도 꼽혔다. 유전자는 아데닌(A), 티민(T), 시토신(C), 구아닌(G) 중 3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데, 유전 질환 6만여 ... ...
- 장내미생물이 알려주는 내 몸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7.12.22
- 대장내시경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MD헬스케어 연구원이 장내 미생물의 DNA를 분석하기 위해 시료를 준비하고 있다. - 최영준 제공 ● 소화기질환에서 뇌질환까지… 신뢰도 확보가 관건 장내미생물 분석 결과로 어디까지 알 수 있을까. MD헬스케어에서 보내온 결과지에는 위와 대장을 ... ...
- [카드뉴스] 박테리아 vs 항생제 내성 전쟁동아사이언스 l2017.12.20
- 합성단계에 작용한다. 인체에는 세포벽이 없어 영향이 없다. 2. 핵산 합성 방해제 DNA 합성을 방해하는 퀴놀론계와 RNA 중합효소와 결합해 RNA 합성을 막는 리팜피신계가 있다. 3. 세포막 합성 방해제 콜리스틴, 암포데리신 등이 있다. 물질의 수송에 관여하는 세포막 합성을 막는다. 대량 투여 시 사람의 ... ...
- 히틀러는 브라질에서 95살까지 살았다?팝뉴스 l2017.12.20
- 가진 여성이 등장한다. 사진 속의 남녀가 히틀러와 그의 연인이라는 것이 작가의 말이다. DNA 테스트를 통해 이 주장의 진위를 증명하겠다고 작가는 밝힌 바 있다. “소설에 불과하다”는 반론도 있지만 이 주장은 여전히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