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 난제 해결할 '동물 어벤저스' 뜰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독특한 특징을 지닌 동물들. 범고래는 인체와 미세각막 관련
DNA
를 공유한다. 박쥐는 사지 형성과 관련한
DNA
가 인간의 특수 질병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 ... 밝혔다”며 “그 덕분에 지금껏 인간 게놈에서 숨겨져 왔던, 신체 특징을 결정하는 새로운
DNA
후보를 발굴했다”고 말했다. ... ...
“블록체인은 규제 대상 아닌 인프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2.28
있다. 4차산업혁명의 핵심인 데이터(Data)와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등을 일컫는 ‘
DNA
’와 연계해 각종 정보를 효과적으로 저장 및 관리할 핵심 기술로 꼽힌다. 서문규 코인플러그 대표는 “초연결 초지능 사회라 불리는 4차 산업혁명이 완성되려면 많은 데이터가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 ...
간단한 소변 검사로 ‘얼마나 늙었는지’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27
Laboratory of Geriatrics)의 차이 지엔핑 박사는 “정상적인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활성산소는
DNA
와 RNA 같은 세포의 분자를 산화시켜 손상을 입힐 수 있다”며 “노화가 진행될수록 산화로 인해 생성되는 물질의 양은 더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차이 박사 연구팀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 ...
윤성빈 스켈레톤 금메달 안겨준
DNA
맞춤 과학훈련법
과학동아
l
2018.02.16
동계올림픽에서는 한국 썰매 종목 사상 최초의 메달 획득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DNA
분석해 맞춤형 훈련법 제안 윤성빈 선수의 기량이 급상승한 데에는 과학적인 훈련법의 도움도 있다. 민석기 한국스포츠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2015년부터 스켈레톤과 봅슬레이 대표팀을 ... ...
손바닥 만한 기계로 게놈 해독하는 나노포어 기술, 한 번에 더 긴 가닥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9
구멍에
DNA
를 통과시키면서 전기 신호 변화를 읽어 염기 서열을 읽는다. 30억 쌍에 이르는
DNA
가닥을 순서대로 통과시키기만 하면 전체 서열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술적 한계로 그동안 한 번에 읽을 수 있는 길이는 1만 쌍 정도였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이아랑 미국 국립인간게놈연구소 ... ...
추운 바다 밑 가오리, 해저 열수구 이용해 알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8
알주머니 총 157개를 발견했다. 4개의 알주머니 표본을 가져와 603개의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쌍을 분석한 결과, 캐나다 벤쿠버섬에서 잡힌 적 있는 태평양 심해 눈가오리 종 ‘바실라자 스피노시스시마(Bathyraja spinosissima)’의 알주머니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알주머니의 58%는 해저 열수구의 연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미토콘드리아의 밀도나 유전자 발현 패턴 등이 나이에 관계 없이 안정적이다. 또
DNA
복구 메커니즘도 거의 완벽하게 유지되고 있다. 다만 벌거숭이두더지쥐가 암에 걸리지 않는다는 얘기는 지난 해 암에 걸린 개체의 사례가 보고되면서 ‘좀처럼 걸리지 않는다’는 표현으로 바뀌어야 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조직 재생’ 비밀 담긴 멕시코도롱뇽
DNA
염기서열 해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02.05
경우 ‘팍스(Pax)7’이 팍스3의 일부 역할을 대체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우파루파의
DNA
에서는 유전자가 없는 비발현부위(인트론)와 유전자간부위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컸다. 다만 신체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경우 인트론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 커지지 못했으며, 사지 재생에 결정적인 역할을 ... ...
지카 바이러스 소두증, 유전자 이상이 원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일란성 쌍둥이에서 지카바이러스 감염 여부와 상관없이
DNA
유전자는 차이가 없던 것과 달리 RNA 유전자에서는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했다. 가장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것은 RNA는 세포의 성장과 죽음의 관계한 것으로 알려진 DDIT41 유전자였다. 정상세포보다 지카 ... ...
피를 보면 암이 보인다! 암 조기검진 ‘액체생검’ 기술은 진화중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연구소는 차세대 유전체 해독 기술을 기반으로 사람의 혈액에 떠돌아다니는 순환 종양
DNA
를 검출하는 ‘온코체이서’ 기술을 개발해 조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1만 개의 정상 유전자 속에서 1개의 암 유전자를 검출할 정도로 정밀도가 높은 편이다. 또 9개 유전자를 이용해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