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DNA"(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인공지능과 결합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30
- 찾아 잘라서 유전자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유전자 가위는 절단이 잘 일어나는 최적의 DNA 부위를 얼마나 잘 찾느냐에 따라 효율이 크게 달라진다. 기존에는 효율이 높은 부위를 찾기 위해 크리스퍼를 일일이 제작해야 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었다. 유전자 가위의 효율예측 알고리즘(DeepCpf1) ...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전이 일어나는 첫 단추 알아냈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8
- 3명 중 2명 이상은 암에 걸려도 완전히 치료되는 세상이 됐다지만 암은 여전히 무서운 질병이다. 몸에 종양이 발견되면 종양과 주변 조직을 검사 ... 말했다. ※ 연구 논문 Samuel Bakhoum et al, Chromosomal instability drives metastasis through a cytosolic DNA response, Nature volume 553, pages 467–472 doi:10.1038/nature2543 ... ...
- 중국, 세계 첫 영장류 복제 성공…신약 개발·뇌 연구 앞당길 듯동아사이언스 l2018.01.25
- 복제 동물들보다도 높은 수치로 그만큼 착상과 임신 가능성도 높아진 셈이다. Kdm4d mRNA는 DNA가 실처럼 감겨 있는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을 억제해 준다. 연구진은 핵을 제거한 난자에 원숭이 태아의 피부세포를 융합해 수정란을 얻은 뒤, 21마리의 대리모 원숭이에게 평균 3~4개씩 총 79개를 이식했다. ... ...
- 최후의 야생본능 ‘회색늑대’는 어떻게 진돗개가 됐을까동아사이언스 l2018.01.24
- 설명했다. 스코그룬드 교수는 “현재 이 지역에 널리 있는 시베리아허스키종의 DNA와, 고대 러시아 지역 늑대가 유전적으로 유사했다”며 “이를 감안하면 3만5000년 전에서 1만7000년 전 사이에 인간과 초기의 개가 함께 생활하기 시작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반대로 2017년 8월 학술지 ... ...
-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동아사이언스 l2018.01.21
- 이번 표지는 이 과정의 한 순간을 표현했다. 녹색과 옥색 두 가닥으로 표현된 것은 DNA다. 전사가 필요한 위치에 TFIIIB 인자(붉은색)가 먼저 붙고 그 뒤를 RNA 복제효소 Ⅲ(파란색)이 붙어 필요한 RNA를 전사하는 모습이다. 한편 이들이 연구에 이용한 극저온전자현미경은 2017년 노벨화학상의 ...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동아사이언스 l2018.01.21
- 원하는 동작을 입력하면 로봇팔은 천 분의 1초 내에 작동한다. 과학자들은 이런 DNA 로봇팔을 하나 또는 여러 개 이어 붙이면 나노물질을 집어 올려 원하는 곳으로 옮기는 일을 수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2018.01.16
- 논문 말미에서 Aldh2 변이형인 사람이 자주 알코올에 노출될, 즉 술을 마실 경우 DNA이중나선이 끊어지고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재구성돼 혈액과 관련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이 연구결과가 동아시아의 음주량 증가와 식도암 같은 암 발생률 증가의 연관성을 밝힌 역학조사 결과에 ...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통까지 완성된 프랑켄슈타인, 뇌 이식 남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13
- 예술가 등이 처음으로 프랑켄슈타인을 접했을 때의 소감들이 함께 실렸다. 인공 DNA를 개발한 데 이어 작은 미생물을 합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크레이그 벤터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생화학과 교수는 “프랑켄슈타인은 신의 영역이였던 창조에 대한 기본적인 관점을 달리 볼 수 있게 만든 ... ...
- 이대병원 신생아 사망 유발 시트로박터 균은 무엇?동아사이언스 l2018.01.12
- 유전자가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지난 달 밝힌 바 있다. 항생제는 세포벽합성 방해제와 DNA나 RNA 등 핵산 합성 방해제, 단백질합성 방해제, 세포막합성 방해제 등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세균의 성장 주기 중 특정 단계에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이 중 페니실린이나 카바페넴 등이 포함된 세포벽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科) 동물의 두개골 형태를 분석한 결과 늑대보다는 개에 가깝게 보이지만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는 오늘날 늑대와 개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에(따라서 이 계열은 멸종했을 가능성이 크다) 잠정적으로 늑대개라고 부른 것이다. 개와의 협력이 현생인류의 성공에 중요했다는 가설을 담고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