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행동"(으)로 총 3,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과학동아 l2012년 07호
- 한다. 따라서 이 부분에 문제가 생기면 새 자극을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하던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저장강박증 치료에 심부뇌자극술이라는 것이 있다. 문제가 있는 뇌 회로를 직접 교정해주는 방법이다. 심부뇌자극술은 대뇌안쪽으로 사람 머리카락 두께의 전극을 삽입하고 전류를 통해 ...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2년 07호
- 기능을 컴퓨터에 비유해 감각을 통해 자극 같은 외부정보가 ‘입력’되면 그에 맞는 행동을 ‘출력’한다고 설명했다”며 “하지만 디폴트 네트워크의 발견은 뇌에서 이런 입출력 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이 생각보다 작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즉 우리의 뇌는 외부 세계의 정보를 받아들인 뒤 ...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상상이나 해 봤어? 청력이 예민해서 주변 환경이 변하면 바로 알아차리고 빠르게 행동을 취하거든. 보통 박쥐는 초음파를 발산해서 이 초음파가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메아리를 감지해서 소리를 들어. 이런 음파탐지능력을 이용하면 주변 환경과 먹이의 크기, 움직임, 심지어 질감까지도 느낄 ... ...
- 만화 읽고 하하 ~, 마음은 튼튼~ 송형석정신과 전문의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수 있답니다. 어른이든 어린이든 우울증을 앓는 환자가 가장 많아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로 오는 어린이들도 많아요. ADHD 어린이는 주의력이 떨어져 지나치게 산만하고, 집중하지 못하죠. 스스로를 조절하는 능력과 집중력을 키우는 치료를 꾸준히 받아야 해요.몸과 마음이 모두 건강한 ... ...
- 뚱뚱하면 수학 성적도 나쁘다?!수학동아 l2012년 07호
- 또한 비만 아동은 분노나 불안, 우울증 등으로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내면화 행동장애’가 나타나기도 쉬운 것으로 분석됐다.연구팀을 이끈 사라 게이블 교수는 “이 연구결과는 비만 아동들이 무조건 수학성적이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다만 비만은 신체 건강의 문제뿐만 아니라 ... ...
- 눈으로 보는 뇌의 목소리과학동아 l2012년 07호
- 기능을 알아내기 위해, 과거에는 뇌의 특정 부위가 손상됐을 때 그 사람의 감각이나 행동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관찰했다. 뇌수술이 보편화된 뒤에는 수술 중에 뇌를 자극했을 때 환자가 어떤 반응을 하는 지 살폈다(뇌에는 감각 세포가 없어서 깨어 있는 상태에서도 수술이 가능하다).1970년대 ... ...
- Norway Killer Played Violent Games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말하지는 않았지만 짐작은 가능하다. 현실은 더욱 복잡하다. 폭력적인 게임과 공격적 행동증가를 연결하려던 초기 연구들은 가정사와 정신건강, 성별 등 주요 변수들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더 폭넓은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브레이빅은 ‘2083년 유럽 독립선언문’이라는 1500쪽 짜리 선언문을 ...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붙이고 있었다. 로봇 손으로 커피를 집을 때 함께 손을 살짝 움직인 것이 그녀가 한 행동의 전부였다. 캐시는 오롯이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조종한 것이다.뇌-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눈부신 발전캐시가 15년 만에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스스로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된 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 ...
- 손 대면 톡 하고~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더 중요해져 여자가 구속에서 벗어나는 겁니다. 원래는 여자가 남자보다 비언어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거든요.하지만 여자의 속마음이 어떻든 처음에는 남자가 2배 가까이 적극적이라는 결과를 본 소년은 혹시 자기가 너무 소심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소년은 이러다가 ... ...
- Part 2. 생각하는 로봇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내용은 이렇다. 뇌는 끊임없이 관찰할 세상에 대한 가설을 만들어서 세상을 인지하고 행동한다. 가설과 실제로 관찰된 것과의 차이를 이용해 더 나은 가설을 만든다. 뇌는 이와 같은 알고리듬을 이용해 세상을 경험하면서 생각하는 방법을 만들어 간다.필자는 이러한 뇌의 작동 기작을 신경 로봇공학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