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686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 구조와 유전자 변이 동시에 분석해 유전자 진단 정확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6
변이가 세포 내에서 단백질의 신호를 전달하는 중요한 과정을 저해할 수 있는 단백질
부위
에서 발생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대용량 유전체 분석에 기반한 질병 예측과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천식 발생과정 밝히는 ‘폐세포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기관지에는 기관지벽을 이루는 곤봉체 세포가 많았고 다른
부위
에 비해 세포 종류가 다양했다. 폐포는 대부분 기체 교환을 하는 호흡세포로 이뤄져 있다. 비강과 기관지 윗부분은 항원을 T세포에게 보여주는 수지상세포가 많지만 폐 깊숙한 곳일수록 직접 병원균을 공격하는 ... ...
월성원전 4호기 정상 가동 허용… 한빛 1호기 정지 이후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재질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조 표면에 바르는 유리섬유로 보강한 방수 코팅막이다. 손상
부위
를 보수해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저장조 외부와 인근 지하수를 점검해 외부 환경으로 영향이 없음도 확인했다. 격납건물 내부 구조물과 외벽 관통부 전수조사에서는 내부 구조물에서 밀봉재 3개가 ... ...
20~30대 급증 '난소암'…"증상 땐 이미 '3기 이후'"
연합뉴스
l
2019.06.19
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며,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난소암 치료는 수술로 암이 퍼진
부위
를 최대한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한 개복수술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향후 임신과 출산을 계획하고 있는 젊은 여성이면서 복막파종이 없는 조기 난소암(1기)일 경우에는 복강경 수술을 할 수도 있다. 다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가깝지만(그래서 이들을 복숭아아속(亞屬)(Amygdalus)으로 따로 놓기도 한다) 우리가 먹는
부위
는 전혀 다르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게 아몬드(씨)를 먹을 때 고소할 뿐 전혀 쓴맛을 느끼지 못하는 걸까. 그리고 아몬드를 잔뜩 먹어도 독에 중독되지 않는 걸까(다만 알레르기 반응이 생길 수는 있다). ... ...
DNA 자르지 않고 유전자 교정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원리다. 연구팀은 대장균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실제로 DNA를 자르지 않고도 원하는
부위
에 염기 1만개 짜리 크기의 유전자를 넣는 데 성공했다. 연구를 이끈 스탠버그 교수는 "유전자 연구 실험이나 농작물에 원하는 유전자를 넣는 생명공학에서 활용 가능하다"며 "부작용을 거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그럼에도 이는 엄밀한 과학적 사실에 기초한 표현이다. 입술이나 손 같은 신체
부위
를 맡고 있는 대뇌피질은 많은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정교한 움직임 정보를 내보내야 하므로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 반면 등이나 허벅지, 팔뚝 같은 곳은 부분 부분에 그렇게 주목할 일이 없기 때문에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번거롭고 기술을 익히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이라거나, 아주 미세하고도 정확한
부위
만 시술해야 하는 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의사들의 니즈가 파악되면 공학자들이 실제 로봇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지 가능성과 유효성을 검증해야 한다. 로봇의 역할에 따라 하는 일이 달라지므로 ... ...
온도 제어 세포배양 기술로 인체 유래 상피세포 배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세포 등을 모두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온도를 조절해 원하는
부위
와 형태로 세포를 배양하는 데도 성공했다. 예를 들어 인체의 온도와 비슷한 37도로 맞춘 플랫폼에서는 표면 모든 곳에서 세포주가 잘 자랐다. 환자에게서 얻은 세포 역시 울퉁불퉁한 부분의 높이 차이가 30nm ... ...
체내 원하는 곳 콕 집어 줄기세포 운반하는 마이크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굵기 정도다. 이른바 ‘회전 자기장’을 통해 줄기세포를 생체 내에서 이동시켜 특정
부위
에 착상, 원하는 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이상적인 시스템이다. 3D 레이저로 인쇄조립하는 방식으로 설계됐으며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나선형 코일을 통해 회전 자기장을 유도, 이 자기장이 프로펠러처럼 돌며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