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게시판] 고려대의료원-중앙보훈병원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전립선암의 부분 하이푸 시술을 시행했다. 전립선 전체를 제거하는 기존 수술과 달리 암
부위
만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질병 상태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기존 전립선암 수술은 발기부전 및 요실금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환자의 삶의 질이 떨어지는 반면, 하이푸 ... ...
한빛4호기 대형 구멍에 놀란 원안위 "점검 대상 전 원전으로 확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관통부 아래에 공극이 발견된 이후 한빛 3호기와 4호기, 6호기에 대해서도 같은
부위
를 점검하던 도중 공극이 발견한 것이다. 당초 빈틈의 깊이는 처음에는 38㎝로 알려졌다가 이후 90㎝, 최종 157㎝로 점점 커졌다. 일각에서는 공극이 점점 커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다. 원안위에 따르면 ... ...
[이정아의 미래병원] "당신의 병명은 ‘나노중독증’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이름 붙일 수 있다. 또는 병을 치료하기 위해 몸속에 삽입하는 로봇이나, 손상된
부위
를 대체하는 인공장기와 임플란트가 오히려 부작용을 일으켜 신종 질환으로 등장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네덜란드 흐로닝언대 연구팀은 금속 장기와 임플란트가 장기와 신체 일부를 대체하는 시대가 되면 ... ...
상처에 붙이면 큰 흉터 없이 낫게 하는 반창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상처가 훨씬 빨리 낫는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특히 팔꿈치처럼 자주 움직이는 관절
부위
에 난 상처를 낫게 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데이비드 무니 비스생물공학연구소 교수(하버드대 존폴슨공학및응용과학대학 생체공학과 교수)는 "이 젤반창고는 갑자기 생긴 상처뿐 ... ...
음식물 넘기는 인공식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4일 밝혔다. 대장암 등 병이 발생하면 대장이나 소장은 손상된
부위
를 잘라내고 건강한
부위
를 잇는 수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구강암이나 인두암으로 식도가 망가지면 건강한 부분을 남기기가 힘들다. 인공식도가 필요한 이유다. 문제는 식도를 인위적으로 구현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식도는 ... ...
암세포 몰래 잠입해 약 꽂는 ‘트로이의 목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8
학술지 '미국화학회지' 1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양끝에 약물을 붙이는 결합
부위
가 있도록 긴사슬지방산을 설계했다. 이렇게 만든 지방산에 약물을 붙이고 혈관 내로 주사하면, 혈청 단백질에 숨어 온몸을 다니다가 종양에 들어가 약물을 터뜨린다. 이 약물이 암세포 성장을 억제해 없앤다. ... ...
외국 식물 '노란용담'에서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17
신규화합물은 지난해 국내에 특허출원됐다. 겐티아나 루테아의 채집 시기와 지역,
부위
별 화합물에 대한 원료 소재의 표준화도 마쳤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이달 5일 천연물신약 및 건강기능식품·화장품 원천소재 기술을 바이오기업 ‘나인비’에 이전하고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 총 ... ...
30년간 정설 뒤엎은 새로운 “세포간 소통 과정’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17
발달할지 운명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모든 세포가 동일한 DNA를 갖고 있더라도
부위
에 따라 뇌세포와 심장세포, 피부세포 등 각기 다른 모습과 기능으로 분화한다. 세포 내에 존재하는 호메오 단백질은 물과 잘 결합하는 친수성이다. 이 때문에 기존에는 물과 잘 결합하지 않는 ... ...
후천적으로 발생한 뇌 돌연변이가 알츠하이머 병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집합체를 의미한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병 환자와 정상인의 뇌에서 해마 형성체
부위
를 레이저를 이용해 오려냈다. 그 뒤 알츠하이머 병 환자 52명의 뇌에서 얻은 내후각피질을 분석해 전장 엑솜 유전체 서열 데이터를 해독했다. 연구팀은 약 20테라바이트의 유전체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 ...
네이처, 달 연구 주도 젊은 과학자에 심채경 경희대 연구교수 조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밝기가 표토의 철 함량과 관련이 있으며 달 표면에서 관측되는 비정상적으로 밝은
부위
(루나 스월 등) 일부는 ‘우주 풍화’에 의해 철 성분의 함유량이 바뀌어서라는 사실을 학술지 ‘이카루스’에 밝히는 등 표토 연구를 지속해 왔다. 2017년에도 탐사선 셀레네의 데이터를 이용해 달 충돌구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