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뉴스
"
부위
"(으)로 총 2,68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자의 생생임신체험記] 찌릿찌릿 가슴 통증으로 임신 사실을 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1
몸이 으슬으슬 떨리거나 소위 ‘Y존’이라고 부르는 허벅지와 몸통 사이 다리가 접히는
부위
가 쿡쿡 쑤시면 임신이라고 했다. 그 목록에 유방 통증이 있었다. 보통 임신 4~6주에 시작돼 임신 제1삼분기(12주) 동안 지속된다고 했다. 바로 임신 테스트를 해봤다. 결과는 예상대로 양성이었다. 다음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생명력 질긴 A형 간염 바이러스, 치료제 나오나
2019.05.08
달라붙는 바이러스 표면의 자리가 일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VP2와 VP3가 연결된
부위
였다. 여러 A형간염 바이러스의 단백질 서열을 비교분석한 결과 항체 분자와 접촉하는 부분의 바이러스 단백질의 아미노산 21개 가운데 18개가 동일했고 나머지 3개도 비슷한 성격의 아미노산으로 바뀌는 ... ...
깜빡이는 빛과 소리 들려주자 치매 증세가 완화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8
40 헤르츠의 소리를 동시에 들려주자, 아밀로이드 베타 덩어리가 기억을 담당하는 뇌
부위
인 해마와, 사고를 담당하는 전전두엽을 중심으로 더 줄어들었다. 차이 교수는 “뇌파 자체가 신경 세포 내에서 어떤 작용을 해 (치매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것 같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이미 진행된 뇌 ... ...
어릴때부터 포켓몬 즐긴 사람, 뇌 속에 포켓몬 구역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7
때 즐겨 하던 포켓몬스터 게임을 떠올렸다. 연구팀은 어린 시절의 노출이 뇌의 전용
부위
를 발달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면 포켓몬을 어릴 때부터 즐긴 사람은 포켓몬 캐릭터에 더 많이 반응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게임 내 포켓몬 캐릭터는 일상 경험에서 일반적으로 접하는 사물과 매우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품첨가제로 만든 3D프린팅 인공장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5.05
복제되는 것을 막기 위해 ‘광흡수제’란 물질이 쓰인다. 광흡수제를 통해 복제할
부위
에 빛이 집중적으로 비춰지도록 해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진 물체를 만든다. 하지만 이런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화학물질은 유전독성을 가진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어 생물 공정에 적합하지 않았다. 조단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③ 게임보다 더 직관적인 로봇 외과의사
동아사이언스
l
2019.05.03
~1.5cm 정도인 구멍을 3~4개 뚫어 카메라와 수술 기구를 넣는 복강경 수술이 보급됐다. 절개
부위
가 작아 수술 후 통증이 적었고 회복도 빠른 데다 상처도 비교적 눈에 띄지 않는다. 지금도 충수절제술(맹장염수술)이나 갑상선절제술, 자궁근종절제술에서는 복강경을 사용한다. 그러나 복강경 수술에 ... ...
김형범 연세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5.01
데 필요한 유의미한 특징들을 스스로 찾아낸 덕분이다. 또한 유전자가위가 표적
부위
에 구조적으로 잘 접근할 수 있도록 염기서열뿐만 아니라 염색질 접근성까지 고려했다. 인공지능이 예측한 유전자가위의 효율과 실제로 실험으로 측정한 것을 비교해보니 신뢰도가 약 0.87로 높게 나타났다. ... ...
DNA 손상되면 출동하는 단백질 확인
과학동아
l
2019.04.29
결과 펠리노1이 작동하면 ‘ATM-MRN’이라는 단백질 복합체가 활성화된 뒤 DNA의 손상
부위
로 이동해 회복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펠리노1이 DNA 손상을 복구하는 상위 조절자 역할을 하는 셈이다. 이창우 성균관대 의대 교수는 “펠리노1의 작용을 억제하면 복합체가 형성되지 않아 DNA 복구 시스템이 ... ...
노트르담 되살리는 3D 스캐닝의 ‘마법’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노트르담 대성당의 첨탑
부위
가 15일 화재로 불타고 있다. 일부 소실된 부분을 포함해 복원 방법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과거에 3차원(3D) 스캔 기술을 이용해 조사한 자세한 데이터가 복원에 활용될지 주목 받고 있다. 위키미디어 지난해 11월 타계한 앤드루 탤런 전 미국 배서대 교수는 일생을 바쳐 ... ...
다이어트 방해하는 '뇌'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복부지방 또는 내장지방으로 알려진 백색지방이 저등급 염증의 주요한 원인이므로, 특정
부위
의 지방 분포가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 연구를 할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 ...
이전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