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5년 동안 본격적인 도시형 식물 생육시스템과 에너지환경을 갖춘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자연환경과 다름없는 폐쇄된 인공 생태 공간을 만든다. 10년 이상 걸리는 장기프로젝트다.식물의 생육 상태를 이미지로 안다연구의 첫 단추는 데이터 수집이다. 적·녹·청색 가시광선과 형광, 적외선, 다중분광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후보로 중성미자를 손꼽았지만, 중성미자 역시 질량을 갖고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자연의 기본 입자 중에는 바일 입자가 없는 것처럼 보였다.그러던 2015년, 응집물질 속에서 바일 입자가 나왔다. 물론 전자의 흉내 내기였다. 미국 프린스턴대 물리학과 자히드 하산 교수팀은 비소화탄탈럼(TaAs ...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파동이 마치 ‘독립’된 것처럼 일정한 속도와 모양으로 전파되는 현상을 말하며, 자연에서는 조수해일과 혈관 속 혈액의 흐름 등에서 다양한 종류의 솔리톤을 발견할 수 있다. 원자선에 생기는 전하밀도파속에도 솔리톤이 만들어진다. 원자가 좌우에 있는 다른 원자와 짝을 짓는 방법에 따라서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함께 노동을 하면 작업 효율이 올라가고 높은 생산성이 보장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자연에서 채취하는 우연적인 1차 생산은 점점 하지 않게 됐고, 보다 적극적인 노동집약적 방법을 고안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인류는 공동노동의 거의 모든 주요 동작들을 노래로 구성했다. 이를 특별히 ... ...
- [Issue] 스마트폰이 불면의 원인? ‘꿀잠’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공급하는 인프라가 없기 때문에, 마을 사람들은 해가 지고 나면 달, 별에서 나오는 자연적인 빛 외에는 요리에 사용하는 불, 건전지로 작동하는 손전등과 같은 약간의 조명만을 사용할 수 있다.삼손 박사는 19~59세의 마을 주민 21명에게 밤잠과 낮잠을 기록할 수 있는 손목시계형 장비인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 없다는 결론은 여전히 실망스러웠다. 그러나, 진화 생물학 초심자였던 프라이스가 자연 선택의 일반 이론을 단박에 찾아냈다는 사실이야말로 자비로운 신이 예정한 ‘기적’이 아닐까. 프라이스는 혼란스러웠다. +더 읽을거리Frank, S. A. (1995). George Price’s contributions to evolutionarygenetic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됐다.광자 따라하는 그래핀 속 전자들운동장에 수천 명의 어린아이를 풀어 놓으면,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는 난장판이다. 이런 아이들을 길들여 분수 양자 홀이라는 군무를 수행하게 하려면 어마어마한 압력이 필요하다. 어린아이들의 활력(물리학에서는 운동에너지라고 부른다)을 모두 제거해 버린 ... ...
- [과학뉴스] 하늘을 걷는 신종 원숭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미얀마 사이의 숲 속에서 처음 발견됐어요. 이후 연구팀은 미국자연사박물관(AMNH)과 영국자연사박물관(NHM) 등에서 훌록 속에 포함되는 원숭이 정보를 제공 받아 8년여 동안 신종 원숭이와 비교하고 조사했지요.그 결과 ‘스카이워커’는 다른 긴팔원숭이들처럼 흰 눈썹과 긴 팔을 갖고 있지만, 몇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시민들은 신기함과 우려를 동시에 표하고 있다. 저렇게 높은 건물이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에서 안전하겠냐는 것이다. 하지만 의외로 지진에 위험한 것은 낮은 건물들이다. 고층건물을 위협하는 것은 따로 있다. 바로 바람이다.낮은 건물이 오히려 지진에 취약한 이유일단 ‘톡’ 하면 흔들릴 것 같은 ... ...
- [Photo] 석영과 그 변종 광물들 上 플린트, 문명 진화의 일등공신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수십만 년 전 어느 날, 한 구석기인이 계곡에서 뭔가를 열심히 찾고 있었다. 얼마 후, 냇가의 돌더미 속에서 주변과는 다른 뽀얀 돌을 집어 든 그는 여기저기 힘껏 두들겨 봤다. 쉽게 깨지는 다른 돌과 달리 그 돌은 멀쩡했다. 그 돌을 수렵채집에 이용했더니, 전에 비해 훨씬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