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doi:10.1038/nature12394). 아직 개체 수준에서의 실험은 발표되지 않았지만, 세포에서 일어나는 자연적인 현상을 의학에 접목한 과학자들의 상상력과 노력이 대단합니다. 두 번째 질문 튜브가 자라 뇌와 척수로?수정된 지 약 한 달이 지난 배아를 들여다보면 기다란 튜브 하나가 가장 먼저 눈에 띕니다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구의 본질적인 방식을 바꾸지 않고도 관찰, 기술, 고찰이라는 착실한 과정을 거쳐 자연계의 진실에 도달하게 만들어 주는 발명품”(26쪽)이라고도 칭송했다.바이오로깅으로 밝힌 진실은 실로 놀랍다. 과거의 틀린 연구결과를 바로잡기도 한다. 어류의 속도가 대표적이다. 성실한 저자는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가까운 미래에는 스마트기기를 들고만 다녀도 충전이 저절로 될 것이다. 그는 또 “자연에서 일어나는 대전현상을 모방해 독창적인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발전기를 제작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많아진 것이다.박문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박자세(박문호의 자연과학세상)’가 대표적이다. 2007년 일반인들의 과학 학습 모임으로 시작한 박자세는 2009년부터 해외 학습탐사를 연간 2회씩 진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몽골과 서호주, 백두산 등 지구와 한반도 역사의 비밀을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밀로는 엠머밀과 스펠트밀, 호라산밀 등이 꼽힌다. 이 중 엠머밀은 지금은 더 이상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 대신 이 밀에서 파스타와 스파게티의 주 재료인 듀럼밀이 유래했다. 일명 ‘건강한 밀’로 불리는 호라산밀은 미국의 한 업체가 대량생산해 ‘카무트밀’이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자연에서 답을 찾다!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원리를 알면 보지 않고도 그림을 그릴 수 있어요. 여기에서부터 디자인이 시작되지요.”자연의 아름다움을 배우는 건 미래의 자동차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나 새로운 경험이 될 거예요. 신학기를 맞아 자동차 디자이너의 세계를 경험해 보는 건 어떨까요? △자동차 충격 실험을 할 때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타임머신을 타고 도시를 돌아다니면 시대마다 그 모습이 모두 다를 거예요. 도시의 모습은 계속해서 변해왔기 때문이죠. 무엇이, 그리고 어떻게 도시를 바꾸는 걸까요?8000년 동안 변하고 또 변한 ‘도시’도시는 정치와 경제, 교통, 그리고 문화 등이 발달한 곳이에요. 5000년 전 오늘날의 이라크 지 ...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지구를 벗어나 우주에는 도시를 만들 수 없을까요? 산소도, 중력도 없는 우주에선 오롯이 사람이 모든 걸 만들어야 한답니다. 또 하나의 지구를 거대한 우주선 안에 담는 방법! ‘우주 정착선’을 만나 보아요~!★특명 1 위치를 고정하라!1969년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제라드 오닐 박사는 새로운 아이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정수를 프라이스는 우아한 수식으로 승화시켰다.사실, 프라이스 방정식은 고작(?) 자연선택에 의한 생물 진화를 설명하는 데서 멈추지 않는다. 보고 싶은 TV 채널을 고르거나, 민생에 관심 없는 대통령 후보를 찍지 않거나, 연골보다는 단단한 뼈가 조상들의 유적지에서 주로 출토되는 것처럼,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번식을 통해 세대가 바뀌어야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가진 개체가 탄생할 수 있고, 자연 선택을 통해 점점 더 환경에 잘 적응하는 방향으로 진화한다. 이런 관점에서 봤을 때 노화와 죽음은 집단 전체의 이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 가설에서 죽음과 노화는 동시적이고 구별되지 않는다. 하지만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