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물질을 사용해 ‘인공 Z-체계’를 구현하는 것이지요. 다나카 코지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 교수팀은 이산화티타늄과 황화카드뮴을 금 입자로 연결한 인공 Z-체계를 개발해 2006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빛 흡수과정이 두 번 연속 일어나 효율이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아닌 우박이 떨어졌던 5월 3일. 서울대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 1층에 위치한 휴게실에서 여섯 명의 우주항공공학전공 학생들을 만났다. 17학번과 18학번인 이들은 출신 학교와 지역이 모두 달랐지만, 우주와 물리, 항공기와 로켓을 좋아한다는 공통분모가 있었다. 내신 4등급 받아도 포기 안해_1 ... ...
- Part 2. 수학자를 뛰어넘은 아마추어수학동아 l2018년 06호
- 4가지나 찾았어요! 전문가가 확인한 결과, 그 내용은 정확했지요. 2017년 7월 프랑스 국립연구소의 미카엘 라오 박사가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방법이 오직 15가지밖에 없다는 사실을 컴퓨터를 이용해 증명했으니 라이스는 칼 라인하르트를 빼면 수학자들보다 테셀레이션을 더 많이 찾은 셈이에요.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주요 연구 분야는 부호론과 암호론, 산업수학, 인공지능입니다. 2004년 캐나다 조합론연구소에서 주는 커크만 메달을 한국인 최초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대한수학회 수학문화 앰배서더로 활동 중이며, ‘감성수학레드’라는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륵사지 석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연결하면서도 가볍기 때문에 다시 돌을 쌓을 때 무게가 크게 늘지 않거든요.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타이타늄 봉을 이용해 화강암을 튼튼하게 연결하는 방법을 새롭게 개발했답니다. 동탑은 9층, 서탑은 6층인 이유는?다음으로 미륵사지 동탑을 찾았어요. 새하얀 돌들이 9층까지 쌓여 있어서 ... ...
- Intro. 현상수배,소똥구리 찾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안녕! 나는 몽골에 사는 소똥구리야. 맛있는 소똥 냄새를 맡고 멀리서부터 달려와 똥을 빚고 있는 중이지. 어? 그런데 저건 뭐지? 저기 포스터 속에 있는 게 설마 나야 …? 내가 현상수배 중이라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현상수배,소똥구리 찾기 대작전!Part 1. 급구, 소똥구리를 찾습 ...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알에서 깨어난 소똥구리가 이를 먹고 잘 성장할 수 있지요. 이강운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은 소똥구리에게 알맞은 똥을 먹이기 위해 직접 소를 키우고 있어요. 이곳에 있는 소똥구리는 멸종위기 2등급인 ‘애기뿔소똥구리’예요. 애기뿔소똥구리는 다른 소똥구리와 달리 똥을 굴리지 않고 똥 ...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수학동아 l2018년 05호
- 확률 분야의 떠오르는 샛별은 2010년 필즈상을 받은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교수의 제자 휴고 듀밀-코핀 교수입니다. 박사 과정 때인 2012년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인 ‘수학연보’에 연구를 발표하며 수학계에 눈도장을 확실히 찍었습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도 대단한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습 ...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케(이렇게) 해야 겠다’로, ‘쉬쉬’는 기계음으로 판단했다. 이정수 디지털과학수사연구소장은 “파형을 보고 음절을 하나하나 분리해 들어본 결과 ‘욕해’가 아닌 ‘이케’로 들렸다”고 설명했다. 목소리 분석 기술은 실제 범죄 수사에서도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음성이 녹음된 데이터에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시대에도 안전한 새로운 암호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는 15년 이내에 기존 암호를 공격할 수 있는 수준의 양자컴퓨터가 개발될 것으로 예상하고, 2016년 4월 안전한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과 전자 서명, 키 교환 프로토콜 등의 기술 공모를 시작했다. 곧 다가올 ... ...
이전147148149150151152153154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