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KIST 미세먼지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문제는 2차 미세먼지!기자단 친구들은 가장 먼저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로 향했어요. 연구실을 둘러보기에 앞서 하헌필 미래융합기술연구본부 본부장님이 친구들에게 미세먼지가 무엇인지 질문을 던졌지요.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예요. 나쁜 물질로 이뤄져 있어서 우리 ...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같은 학술지에 실었다.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합친다면?2016년, 퍼시 교수는 응용수학연구소 웹진에 파격적인 제안을 했다. 크로스컨트리 스키에서 좌식과 입식, 시각장애 부문을 통합해 한꺼번에 경기를 하자는 것이다. 경기 부문을 잘게 쪼개면 메달 경쟁률이 들쑥날쑥하다. 실제로 리우 하계 ... ...
- 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우주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석천 경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는 “기존 우주팽창모형을 유지한 채로 여러 관측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암흑에너지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일반상대성이론에 기초한 우주팽창모형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총 16개의 ... ...
- [과학뉴스] 지구에서 가장 먼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0만km 떨어진 거리에서 찍은 것이었다. 뉴호라이즌 탐사책임자인 앨런 스턴 사우스웨스트연구소 박사는 “뉴호라이즌은 명왕성과 카이퍼벨트 천체를 탐사한 최초의 탐사선인 동시에 가장 빠른 탐사선”이라며 “이제 역사에 기록된 어떤 우주선보다 먼 우주 공간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됐다”고 ...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결합하는 연구가 많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 소속 위스생체모방공학연구소(Wyss Institute for Biologically InspiredEngineering)의 박성진 연구원, 케빈 킷 파커 교수 등과 함께 쥐의 심장근육세포를 붙인 ‘가오리 로봇’을 만들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016년 7월 8일자에 공개했다. doi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출원했다. 나머지 균주들은 롯데중앙연구소 내 균주은행에 저장됐다. 윤석민 롯데중앙연구소 책임연구원은 고려대 김세헌 교수와 공동으로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쥐를 변비에 걸리게 한 뒤 2주간 요하이 초콜릿을 먹였다. 그러자 분변이 정상에 가까운 형태로 호전됐다. 장내 유익균인 ... ...
- [Culture] 우리 강아지, 유치원에 보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규모의 유전학 연구기관인 잭슨연구소(Roscoe B. Jackson Memorial Laboratory)에서 시작됐습니다. 연구소의 일원이었던 존 스콧 박사와 존 풀러 박사는 비글, 바센지, 코커스파니엘, 셔틀랜드쉽독, 폭스테리어 등 5가지 견종 470마리를 대상으로 강아지의 행동발달을 연구해, 1965년 ‘개의 유전학과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으로 인공위성 원격탐사를 하고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극지연구소 연구팀은 광학위성인 ‘아리랑 2호’ ‘아리랑 3호’를 이용해 마리안 소만의 빙벽 후퇴를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있다. 또 아리랑 2호, 3호로 남극세종과학기지가 위치한 바톤반도의 식생분포를 ... ...
- [실전! 반려동물] 왜 아무데나 오줌을 싸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상담소에 두 번째 사연이 도착했네요. “2년째 ‘냐옹이’를 키우고 있는 집사예요. 고양이는 개와 달리 따로 배변훈련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들었는데, 우리 냐옹이는 집안 곳곳에 실례를 해요. 도대체 냐옹이는 왜 이런 걸까요?” [왜?] 오줌을 못 가리는 고양이도 있다? ... ...
- [필즈상 미리보기] 알레시오 피갈리, 허준이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만큼 혁혁한 공을 세워야 가능하지요. 이런 프로그램에 선정됐다는 건 프린스턴 고등연구소가 허 박사의 가능성을 높게 사고 있는 겁니다. 허 박사는 필즈상 수상 여부와 관계없이 초청강연자로 브라질에 갑니다. 그 자리에서 곧바로 좋은 소식을 들을 수 있을지, 아니면 4년 뒤를 기약할지 그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