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수준의 물질을 분석할 수 있다. 일종의 ‘X선 현미경’인 셈이다. 강태희 포항가속기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병원에서 쓰는 X선 촬영과 유사한 파장의 빛을 쓰지만, 빛의 세기가 다르다”며 “X선 촬영은 세기가 약하지만 가속기는 빛을 강하게 쪼여서 물질 내부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라고 저자를 소개하고 싶다. 주인공은 바로 이지섭 민 자연사연구소장이다. 민 자연사연구소는 그가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며 모은 3000점의 광물 중 일부를 전시한 공간이다. 그는 자신을 광물 수집가(영어로는 ‘mineral collector’라는 말로 표현된다)이자 이야기꾼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자신의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아닌 우박이 떨어졌던 5월 3일. 서울대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 1층에 위치한 휴게실에서 여섯 명의 우주항공공학전공 학생들을 만났다. 17학번과 18학번인 이들은 출신 학교와 지역이 모두 달랐지만, 우주와 물리, 항공기와 로켓을 좋아한다는 공통분모가 있었다. 내신 4등급 받아도 포기 안해_1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각각 지하 11km, 10km 지점이라고 밝혔다. 또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NIED)는 지하 5km 지점을 진원으로 지목했다. 여 교수는 “기관마다 발표하는 진원의 깊이가 다른 이유는 지각이 지진파를 전파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모델을 다르게 썼기 때문”이라며 “연구단에서는 ...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물질을 사용해 ‘인공 Z-체계’를 구현하는 것이지요. 다나카 코지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 교수팀은 이산화티타늄과 황화카드뮴을 금 입자로 연결한 인공 Z-체계를 개발해 2006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에 발표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빛 흡수과정이 두 번 연속 일어나 효율이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자연스럽게 서울대 우주항공공학전공 졸업생 대다수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 등 관련 정부 연구기관으로 진로를 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실제로 우주항공공학전공은 서울대에서 국방 관련 연구 과제를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다. 여 교수는 “교수진이 ‘국가에 기여한다’는 ... ...
- [특별 페이지] 미리 보는 러시아 월드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한준희 해설위원에게 물었다! Q&A 수학동아가 KBS 축구해설위원이자 대한축구협회 정보전략위원을 맡고 있는 한준희 해설위원을 만났다. 축구에 관한 것이라면 뭐든지 알고 있다는 한 해설위원에게 러시아 월드컵에 관해 궁금한 점을 물었다! Q. 안녕하세요, 해설위원님. 이번 러시아 월드컵 ... ...
- [매스미디어] 용의자 X의 헌신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내용을 말해준다. 여기서 이시가미가 언급한 수학문제인 P≠NP 문제는 2000년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발표한 7개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다. P는 정해진 단계에 풀리는 문제, 즉 답을 찾는 게 쉬운 경우이고, NP는 풀이를 보고 답이 맞는지 틀렸는지 확인하는 게 쉬운 경우다. 이 두 경우의 관계를 찾는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생성에서 정설로 인정받기까지는 갈 길이 멀다. 오우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장은 “실험 과정이나 논문 내용만 봐서는 흠 잡을 데가 없다”면서도 “다른 연구 그룹들이 비슷한 결과를 계속 발표해야 학계에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네이처’ 역시 이 논문이 실린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도로다. 운행 속도가 시속 40km 이하로 매우 낮다. 이석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도로연구소 연구위원은 “복구나 재건은 결국 비용과 시간의 문제”라며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시공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통일북방연구센터를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