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그로텐디크의 대수학 강의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세계적인 명성을 떨치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그로텐디크는 IHÉS는 기초과학
연구소
가 군사 연구비 지원을 받는다는 게 본인의 신념과 맞지 않다며 IHÉS를 떠났습니다. 이후 그로텐디크의 세미나 내용은 당시 같이 교수로 있던 장 디외도네의 주도하에 책으로 만들어집니다. 이때 ... ...
Part 5. 연구자와 대중 모두를 위한 ‘수학의 집’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빌라니가 소장으로 있던 푸앵카레
연구소
는 수학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푸앵카레
연구소
는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수학에 친밀감을 가질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씨네 클럽’이라는 프로그램은 과학자가 나오는 영화를 상영하고, 실제 과학자가 연사로 나서 내용을 ... ...
[과학뉴스] 행성 탄생의 순간 포착!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그 결과 처음으로 PDS 70b의 생생한 이미지를 포착했다.안드레 뮐러 막스플랑크 천문학
연구소
연구원은 “이 발견은 행성 형성의 이론적 모델을 시험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온라인판 7월 12일자에 게재됐다.doi:10.1051/0004 ... ...
[Culture] 화성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 3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돼 보자. ‘갈릴레오’ 팀에는 ‘캔’으로 불리는 로버가 등장한다. NASA 제트추진
연구소
(JPL)는 현재까지 세 번의 프로젝트를 통해 4대의 로버를 화성에 보냈다. 첫 로버는 ‘화성 패스 파인더(Mars Pathfinder)’ 계획의 일환으로 1997년 화성에 도착한 ‘소저너’다. 소저너는 길이 65cm로 아담하다. 201 ... ...
[Issue] 난민에 관한 과학적 팩트 4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터키나 레바논으로 이동하는 수가 가장 많았다.가이 아벨 오스트리아 빈 인구통계
연구소
연구원은 “최근 사상 최대 규모의 난민이 발생하는 것처럼 알려져 있지만, 오히려 전체 인구 대비 난민의 비율은 지금이 50년 만에 최저 수준”이라고 말했다. 팩트 4. 기후변화로 인한 난민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연구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는데요. 한 예로 마이클 에이슨바흐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생화학부 교수팀의 정자 실험을 소개합니다.doi:10.1371/journal.pone.0041915에이슨바흐 교수팀은 긴 관에 정자를 넣고 한쪽 끝은 상대적으로 차갑게, 다른 한쪽 끝은 상대적으로 따뜻하게 한 후 정자들의 움직임을 ... ...
[과학뉴스] 별 집어삼키는 초거대 블랙홀의 ‘트림’ 포착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4분의 1정도로 측정됐다. 연구에 참여한 미구엘 페레즈토레스 스페인 안달루시아천문
연구소
연구원은 “29개 기관이 오랜 기간 공동연구를 통해 이룩한 성과”라며 “제트 현상을 관찰하면 수억만 년 전 은하가 생성된 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o466 ... ...
[과학뉴스] ‘세레스’의 유기물, 의외로 풍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Ceres)’에 유기물이 풍부하게 존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브라운대, 카네기
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무인탐사선 ‘돈(Dawn)’ 임무를 수행하며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2015년 연구팀은 세레스 북반구의 에르누테트 크레이터를 관측하던 중 가시광선 및 적외선(VIR) ... ...
[과학뉴스] 묵은지는 왜 김치와 맛이 다를까?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시원한 맛이 나지만, 익을수록 점점 시큼하고 냄새도 콤콤하게 바뀐다. 이세희 세계김치
연구소
미생물기능성 연구단 연구원팀은 시간이 지나면서 김치 맛이 달라지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규명해 국제학술지 ‘식품미생물학(Food Microbiology)’ 4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김치 발효 과정에서 ... ...
[과학뉴스] 강철보다 강한 거미줄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베타시트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을 처음으로 밝혔다. 널 알리아 옥타비아니 이화학
연구소
지속가능한자원과학센터(CSRS) 연구원팀은 ‘황금원형그물 거미(Nephila clavipes)’를 이용해 거미줄을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박테리아를 만든 뒤, 이것으로 단백질을 만들면서 베타시트 구조가 어떻게 ... ...
이전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