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분
영양
영양소
자양분
음식물
음식
d라이브러리
"
영양분
"(으)로 총 762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생물종 중 25%가 모여 살아요. 200년 전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은 산호초 주변에는
영양분
이 거의 없는데 다양한 종의 물고기가 모여 사는 것을 보고 이상하다고 생각했어요. 이를 ‘다윈의 역설’이라고 불러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산호초에게서 답을 찾으려 했어요. 그러다 지난 5월 23일 캐나다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맛이 은근히 나서 자연스레 야채나 과일에 관심을 가질 수 있지요. 물 대신 과일 주스로
영양분
을 챙겨 주는 것도 좋은데, 사과 주스가 가장 무난하답니다. 이때 물로 목욕을 하는 습성이 있다면 주스는 깃털을 끈적끈적하게 만들기 때문에 피해야 해요. 새가 과일과 야채를 갑자기 많이 먹으면 ... ...
몬스터는 억울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주로 활동했어요. 뱀파이어 아메바는 다른 단세포 생물의 몸에 구멍을 뚫고 세포 내부
영양분
을 빨아먹고 산 것으로 추정돼요. 정확히 말하면 피를 빨아먹는 것은 아니지만, 흡혈동물과 같은 방식이라 이런 이름이 붙었답니다. 이 구멍이 남은 아메바 화석은 과학자들이 고생물의 포식활동을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특히 동물에게 중요하다. 동물은 진화를 통해 조직과 세포에 산소와
영양분
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발달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심혈관계다. 심장을 엔진 삼아 혈액은 평생 온몸을 일정한 방향으로 순환하며 폐에서 얻은 산소를 온몸의 조직과 세포에 전달한다. 심혈관계를 통한 산소 공급은 ... ...
[출동!기자단] 유산균이 태어나는 곳, 쎌바이오텍 연구소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6.47로 유산균이 발효하면서 증식하고 있었지요. 발효는 유산균이 포도당과 같은 당을
영양분
으로 쓰고, 결과물로 젖산을 만들어내는 과정이에요. 유산균은 이 과정을 거치며 증식하지요. 그럼 이렇게 자란 유산균이 어떻게 우리가 먹는 가루 가태가 될까요? 공장 한 켠에서는 증식을 마친 유산균을 ... ...
[실전!반려동물] 잠만 자는 고슴도치, 깨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양의 사료를 먹는 반려동물 고슴도치는 미리 살을 두둑이 찌워 놓을 기회가 없어요.
영양분
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고 겨울잠에 들었다가 에너지를 다 써버리곤 영영 깨어나지 못할 수도 있어요. 따라서 고슴도치가 겨울잠에 들지 않도록 사육장의 온도를 항상 22~26℃ 사이로 맞춰 주세요. 고슴도치는 ... ...
유산균 프로젝트, 40일간의 똥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먹이인 프락토올리고당도 들어 있어요. 그래야 유산균이 우리 몸속에 들어가서도
영양분
을 섭취하며 잘 자랄 수 있을 테니까요. Q 유산균 광고를 보면 유산균이 몇 억 마리씩 들어있 더라고요. 왜 이렇게 많은 유산균을 먹는 거죠?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유산균을 몸속에서 ... ...
[과학뉴스]대서양에 나타난 8850km 해조류 벨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후 교수는 “겨울철 서아프리카 지역의 심해수 용승 작용이 활발해지면서 대서양에
영양분
이 많이 공급돼 해조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며 “남미의 삼림 벌채와 비료 사용량 증가 또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doi:10.1126/science.aaw791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상황에서 만약 GM 모기가 낳은 알이 일찍 죽어버리면, 일반 모기 유충들이 이 알을 먹고
영양분
을 더 많이 섭취해 오히려 전보다 더 잘 자랄 수 있다. 이 경우 모기의 전체 개체수가 줄어드는 효과는 미미해 질 것이다. doi: 10.1186/1741-7007-5-11 말라리아 물리치려 GM 모기 방사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는 ... ...
[통합과학 교과서] 행복한 왕자도 당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같은 미생물을 죽여 나뭇잎이나 동물의 사체가 잘 썩지 않게 돼요. 그럼 식물에게 줄
영양분
이 부족해져 농작물이 잘 자라지 못해요. 또 식물이 직접 산성비를 맞으면 잎의 조직이 파괴되고 엽록소가 빠져나가기도 하지요. 그 결과 나무는 말라 죽게 돼요. 또 산성비는 호수나 하천의 수소 이온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