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물
담수
바닷물
연수
fresh water
d라이브러리
"
민물
"(으)로 총 25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이용해 거품의 크기를 알 수 있게 됐다.
민물
에서는 거품이 거의 생기지 않는다. 그런데
민물
에서도 거품이 잘 생기는 곳이 있다. 바로 폭포다. 이곳은 물과 공기가 활발하게 섞여 거품이 잘 생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빅토리아 폭포나 나이아가라 폭포를 보면 거품으로 가득한 모습을 쉽게 볼 수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학봉장군 미라를 연구해 조선 전기에는 애기부들 꽃가루를 각혈 약으로사용했으며, 당시
민물
고기를 날로 먹는 식생활 문화가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한국미라가 많지 않은 이유한국엔 이름이 알려진 미라가 몇 개 없다. 김한겸 교수와 신동훈 교수팀이 조사했던 미라의 숫자를 모두 합해도 2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조금씩 서해로 내보냈다는 뜻이기도 하다. 3년만인 2000년 12월, 결국 정부는 시화호를
민물
호수(담수호)로 만들기를 포기하고 소금물 호수(해수호)로 운영하겠다고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사실상 둑에 가로막힌 ‘바닷물 호수’가 된 셈이다.바닷물을 들인 이후 수질이 많이 좋아졌다. 하지만 바닷물 ... ...
고슴도치 섬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제가 소개해 드리죠.강물과 바닷물, 어디서나 살 수 있어요!천연기념물인 수달은 보통
민물
에 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바닷가에서도 살 수 있다. 물에 들어갈 땐 입을 다물고, 특별한 근육으로 코와 귀를 꼭 틀어 막기 때문에 바닷물이나 강물에 관계 없이 물 속에서 생활할 수 있다. 바다에서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장점으로 바꿔보라는 충고를 했다. “집 주변에서 생태연구소를 찾아봐. 그곳에서
민물
고기나 물에 대해 연구하는 걸 견학해보면 어떨까. 연구에 참여해 나중에 탐구대회에서 관련 주제로 발표를 해보면 좋을 것 같구나. 그리고 봉사활동으로 생태 연구하는 일을 돕는다면, 네 꿈과도 연결되는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땅에 박혀 있다. 바닥에 끈끈한 흙과 맹그로브 가근이 섞여 걷기가 힘들었다. 맹그로브는
민물
과 바닷물이 만나는 펄 해안에서 자라는 열대나무다. 맹그로브는 바다에 뿌리를 내리고 있어서 잎으로 염분을 내보낸다. 잎을 따서 혓바닥에 갖다대니 짭짤한 소금기가 느껴졌다.저녁에는 실험실에 모여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수십년 단위의 주기가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가 흔히 돌말이라고 부르는 규조류는
민물
과 바닷물에 널리 분포하는 플랑크톤이다. 이는 수중 생태계의 생산자이자 어패류의 먹이로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어떤 지역의 호수에서 다음과 같은 환경 변화를 관측했다고 하자. 이때 돌말의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광물질로 만든 해수염을 쓴다. 바닷물을 쓰다 보니 여과 시스템도
민물
수조와 다르다.
민물
수조에서는 물의 일부를 갈아 줌으로써 생물학적 여과를 통해 생긴 질산염을 간단히 없앨 수 있다. 그러나 바닷물고기를 기를 때는 해수염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물을 함부로 갈 수 없다 ... ...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어종이다. 보통 모래바닥으로 된 5~50m 정도의 수심에 살지만 암초지대에도 많고 때로는
민물
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까지 올라오기도 한다.감성돔은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4~6월 정도에 산란기를 맞는다. 산란을 마친 물고기들이 흔히 그렇듯 6월의 감성돔은 살이 스펀지처럼 푸석하고 맛이 없다. ... ...
동전 크기만 한 담수화 장치 개발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컵 하나에 물을 채우는 데 스탠드 하나를 켜는 정도의 전기를 쓴다.한 교수는 소금물을
민물
로 만드는 데 한 번도 사용된 적이 없는 ‘이온 채널 분극(ICP)’기술을 적용했다. ICP는 이온으로 이뤄진 바닷물을 전하를 가진 이온 입자를 쫓아내기 위해 전압이 가해지는 특별한 관(管)으로 흘리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