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물
담수
바닷물
연수
fresh water
d라이브러리
"
민물
"(으)로 총 251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북 VS 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남생이남생이는 자라보다 생김새나 크기가 거북과 더 비슷해요.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민물
거북이거든요. 등딱지가 단단하고 진한 갈색이에요. 성질이 온순해 길들이기 쉽고, 수영을 잘 못해서 물이 느리게 흐르는 강이나 저수지를 좋아한답니다. 냇가나 연못에 사는 남생이는 천연기념물과 ... ...
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턱과 쌍으로 이뤄진 지느러미는 이들을 나타내는 뚜렷한 특징이다. 고생대 후기까지
민물
에서 살았던 클리마티우스는 대표적인 극어류다. 데본기에 번성했다가 빠르게 멸종한 판피류는 저서생활을 했다. 뱀과 비슷하게 생긴 레나니드, 체절로 된 가슴지느러미가 있는 안티아크스, 몸길이가 9m에 ... ...
새댁기자의 쿡쿡 맛있는 과학 - 6화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많이 갖고 있어요. 단맛이 나는 글리신과 감칠맛이 나는 글루탐산염 같은 아미노산이
민물
고기보다 3~10배나 많답니다.회유성 어류인 고등어는 2~3월에 우리나라 제주도 연안에 나타나 차츰 북쪽으로 올라와요. 그러다가 5~7월 수온이 20℃ 안팎인 우리나라 근해에서 알을 낳지요. 늦가을이 되면 겨울을 ... ...
24시간 태양이 빛나는 북극 다산기지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탐색하고 있지요. 현재 다산기지 주변에서 채집한 바닷물 미세조류 67주와
민물
미세조류 43주를 극지미생물배양실에서 배양하고 있답니다. 언젠가 세계 사람들이 깜짝 놀랄 신소재를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북극에서 찾아내겠죠 ... ...
정크 DNA, 혹시 정말 쓰레기?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먹는 식충식물인 열대통발기바(Utricularia gibba)의 유전체를 분석했다. 열대통발기바는
민물
습지에 살면서 주머니로 먹이를 잡아먹는 정교하고 복잡한 식물이다.과학자들은 복잡하고 섬세한 생물일수록 정교한 조절이 중요하며, 유전자나 비번역 DNA가 많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열대통발기바의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하구에는 둑이 없어 밀물·썰물에 따라 담수와 해수가 자연스럽게 섞이기 때문에
민물
생물과 바다 생물이 함께 살 수 있다”고 설명했다.새는 보지 못하고 새 소리만 들어 잔뜩 약이 오른 관광객을 위한 배려일까. 갈대숲 안쪽에는 조류박물관이 있었다. 물 위에 목재로 지어올리고 지붕에는 갈대를 ... ...
꽁꽁 언 얼음판은 최고의 과학놀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그리고 바다에만 사는 멸치와 달리 빙어는 바다뿐 아니라 강이나 호수와 같은
민물
에서도 살 수 있어요.빙어 우리를 빨리 만나고 싶다고? 그렇다면 우리에 대한 정보를 더 알려 주지! 원래 우리가 좋아하는 먹이는 동물성 플랑크톤이야! 그리고 우리 빙어들은 무리를 지어 움직이는 습성이 있지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3호
얘기는 아니라고.가시고기는 동해로 흐르는 강 하류에서 살지만 바다로는 가지 않는
민물
고기야. 몸 옆면에 얼룩무늬가 있고 물벼룩 등 작은 동물을 먹고 산단다. 송어와 비슷한 열목어는 은색으로 몸 길이가 60~70㎝나 되는데 주로 수온이 낮은 산골짜기 시냇물에 살지. 생긴 게 상어랑 비슷해 이름도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돈다는 뜻이에요. 바다에서 밀려 강 쪽으로 올라가는 바닷물과 상류에서 밀려내려오는
민물
이 만나 서로 부딪혀 도는 곳이거든요. 그런데 늘 그런 건 아니에요. 두 물살의 세력이 백중세면 바다가 아주 고요합니다. 김포에서는 그 상태를 ‘참’이라고 불렀어요. 그런데 갑자기 균형이 깨지는 순간이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아마존에 사는 전기뱀장어지. 꼬리에서 최대 550V의 전기를 만들어내거든. 이 정도면
민물
고기, 개구리는 물론 말이나 사람도 죽어. 얼룩통구멍은 모래와 비슷한 색을 띠고 모래 속에 얼굴만 내밀고 숨어 있다가 눈 사이에 있는 발전기관으로 먹이를 기절시켜. 토르망치에 머리만 콕 대도 토르는 바로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