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향기
향료
냄새
향수
향내
d라이브러리
"
향
"(으)로 총 372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계 싸움의 기술
과학동아
l
201002
흘러나오는 달착지근한 수액을 먹고살기 때문이다. 나무 수액은 발효되면
향
긋한
향
이 나 사슴벌레뿐 아니라 다양한 곤충이 먹으려고 모여든다. 이때 사슴벌레는 큰턱으로 다른 종들을 위협해 자기 영역을 지킨다. 편집자주 을파소에서 출간한 '생생 클로즈업! 동물체험관'에 실린 동물들을 매달 ...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02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가 서로 반응해 갈색을 띠는 멜라노이딘 색소가 형성되면서 맛과
향
이 짙어진다. 또 초산이 날아가 신맛이 줄어든다. 볶은 콩을 잘게 부숴 껍질과 배젖, 배아로 분리한다. 단단하고 맛없는 껍질과 배아는 버리고 배젖만 남긴다. 배젖을 으깬 반죽(카카오 매스)을 데우면 ... ...
1. 모양에 담긴 비밀
수학동아
l
201002
배어든다.열을 많이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조리도 빨리 된다. 재료 자체의 맛이나
향
을 우러나오게 하는 데도 유리하다.도넛에 구멍이 난 이유 북한에는 ‘가락지빵’이란 말이 있다. 무엇을 가리키는 말일까? 가락지라면 손가락에 낄 수 있도록 동그란 구멍이 난 물건을 말할텐데 빵이라고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02
있게 늘어나며 발이 받는 압력을 줄인 다. 당기는 힘의 방
향
이 옷감의 날실 또는 씨실 방
향
과 사선을 이루기 때문이다. 발을 들었을 땐 당기는 힘이 사라지므로 버선이 다시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면서 발을 갸름하고 탄력 있게 감싸준다.그 밖에도 우리 옷에는 바이어스 효과를 활용한 부분이 곳곳에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01
당기고 있다. 다양한 양념을 넣고 값비싼 생아귀를 사용해서 고급 요리로 탈바꿈하는 경
향
까지 나타난다. 그런데 ‘현산어보’에는 아귀를 식용한다는 기록이 나와 있지 않다. 사람들은 아귀를 언제부터 먹기 시작한 것일까. 사실 사람들이 아귀를 먹기 시작한 지는 얼마 안 됐다. 예전에는 험상궂은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01
알려져 있다. 쫙 벌린 입 안으로 줄지어 있는 이빨이 수상하다. 어디선가 웅장한 합창 교
향
곡이 들리지 않는가. 삿갓을 하나씩 쓰고 고개를 숙이고 있는 합창단원들은 고깔먹물버섯이다. 축축한 것을 좋아해 썩은 나무 그루터기에서 자라며 갓 지름이 약 1cm, 길이는 2~3cm로 작다.이들은 봄에서 가을에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3
없다면 필요한 물건이 무엇인지 한눈에 알아볼 수도 없어. ❹이것이 없다면 음료의
향
을 오래 보존하기가 어려울 거야. 아직 잘 모르겠다고? 정답은 바로 ‘포장’이야. 흔히 포장이라고 하면 선물을 예쁘게 포장한다거나 음식을 포장해가는 걸 떠올릴지도 몰라.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포장은 물을 ... ...
와인 이제 바르고 입는다
과학동아
l
200912
어떤 기후에서 어느 땅에서 누가 어떤 방식으로 만들었는가에 따라 와인의 맛과
향
이 다르다. 물론 한국에도 한국인 입맛에 맞는 와인이 태어날 수 있는 환경(떼루아)이 존재한다. 우선 한국은 포도를 재배하기 좋은 지역에 포함된다. 특히 영동은 전형적인 내륙고원분지형 기후로 햇볕이 풍부하고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12
나가야겠다는 결심이 선다. 내가 나가고 싶다고 신호를 보낼 테니 미루지 말고 화장실로
향
하라.▼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똥의 황홀한 변신가축 분뇨에서 바이오가스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12
과정과 똑같다. 상황과 장소에 따라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악취가 입맛을 당기는
향
기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재밌지 않은가.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