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수"(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09
- 플랑크 상수라불리는 숫자에 1, 2, 3과 같은 정수를 곱한 값만 허용된다고 가정했다.정수를 곱했기 때문에 궤도가 띄엄띄엄 떨어져 있을 수밖에 없다. 그 사이에는 아무 값도 존재할 수 없다(전자가 존재할 수 없다). 1915년 조머펠트는 각운동량대신 ‘작용’이라는 물리량이 양자화되는 것으로 ...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09
- 숯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구멍이 많아 메틸렌블루 용액의 푸른색을 빨아들인다. 정수장에서는 실제 250개나 되는 관문을 이용해 물을 정화한답니다.우와! 정말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겠네요.그럼요.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을 바로 받아서 마셔도 아무 문제없답니다.깨끗한 물을 더욱 맛있게 ... ...
- 베컴과 조던의 공통점은?과학동아 l201308
- 수로, 자연수를 만드는 기본 재료가 된다. 소수만 있으면 소수의 곱으로 자연수부터 정수, 유리수, 실수, 복소수까지 만들 수 있다. 이렇듯 소수가 수학의 토대라는 점에서 소수를 원자에 비유할 수 있다. 마치 원자의 결합을 통해 분자가 만들어지고 이를 통해 우주의 물질이 생성되는 것과 비슷하다 ... ...
- 수학자를 사로잡은 악마의 코드, 소수수학동아 l201308
- 곱하고 빼서 변형하면 모든 소수로 이루어진 식으로 바꿀 수 있다. 즉 제타함수는 모든 정수와 모든 소수를 연결하는 불가사의한 식인 셈이다. 그런데 리만가설이 참이라면 제타함수를 그래프로 나타냈을 때 함숫값이 0인 점들이 모두 일직선에 나타나게 된다. 이건 불규칙하게 등장하는 소수에도 ... ...
- Part 2. 우주 아파트 건설과학동아 l201308
- 개발했다. 달 지하 흙을 가열하면 흙속의 물 분자들이 기화한다. 기화한 물을 냉각해 정수하면 물을 얻어낼 수 있다.전기 공급도 달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했다. 달에는 구름이 끼지 않는다. 태양광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 달 곳곳에 집광판을 설치하고 태양이 비치는 쪽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해서 ... ...
- 뒤통수 함부로 때리지 마라과학동아 l201308
- 후두정엽피질 부분이 활발해졌다.특히 영재의 뇌가 더 많이 활성화됐으며, 머리의 정수리 뒤쪽에 위치한 후두정엽 피질에서 이런 결과는 두드러졌다. 영재라면 높은 지능지수도 필수요소다. 연구팀은 지능지수(IQ)도MRI 뇌 사진으로 판별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후속 연구에 착수했다. 그 결과 ... ...
- [가상 인터뷰] 꿈의 소재, 그래핀에는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307
- 면 모두 위상 수학적 성질이 같은 거예요. 따라서 양자홀 효과가 정수면 ‘보손’, 반정수면 ‘페르미온’이라고 판단할 수 있죠.수학동아 : 김 교수님과 가임 교수님은 계속해서 비슷한 시기에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계시네요. 이번에도 나란히 지에 실렸구요. 우연인가요? 아니면 ... ...
- [20세기의 수학자] 방랑의 수학자 폴 에르되시수학동아 l201307
- 약속했으니, 에르되시가 죽은 지금도 그 상금은 유효하다.이 중 상금 5000달러가 걸린 정수의 등차수열에 관한 에르되시 문제는 소수인 경우에는 해결되어, 이제는 ‘그린-타오 정리’로 불린다. 이 업적은 테렌스 타오가 2006년 필즈상을 수상하는 데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에르되시 수그래프 ... ...
-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306
- 새로운 장이 열렸기 때문이다. 그는 ‘스킴 이론’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통해 정수론과 대수기하학의 문제를 통합된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연구로 그는 1966년 필즈상을 수상했다. 세르게이 노비코프(1938~)노비코프의 부모님은 유명한 수학자였다. 부모님의 영향으로 어릴 때부터 ... ...
- [가상 인터뷰] 쌍둥이 소수 추측, 해결 실마리를 찾다!수학동아 l201306
- 설명해 드리죠. 먼저, 소수란 1과 자기 자신만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1보다 큰 양의 정수를 말해요. 이를테면 2, 3, 5, 7, 11, 13, 17, 19, 23, 29, 31, … 등은 모두 소수예요. 소수 중에서도 두 수의 차가 2인 소수의 쌍, 즉 (p, p+2)를 쌍둥이 소수라고 해요. (3, 5), (5, 7), (11, 13),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