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수"(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포츠 산업, 수학으로 꽃피우다!수학동아 l201402
- 조건을 이용해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설정한 수식을 만든 뒤, 그 식에 대한 가장 적절한 정수해를 찾아내는 방법이다.예를 들어 리그 기간을 몇 주로 해야 할지 정한다고 생각해 보자. 메이저리그에서는 전체 팀을 두 그룹으로 나눠 해당 그룹끼리 대부분의 경기를 하도록 하고, 그룹간 경기는 그 ... ...
-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과학동아 l201402
- 위 식에서 [A]는 A를 넘지 않는 가장 큰 정수다. 예를 들어 는 2.5를 넘지 않는 가장 큰 정수이므로 2가 된다. 한편 (mod 7)은 7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를 말한다. 예를 들어 17을 7로 나눈 나머지는 3이므로 17≡3(mod 7)이다.M월 D일에서 M과 D가 결정된다. 단, M의 값이 3월부터 12월까지는 각각 3 ...
- [화보] 찰나의 순간, 수학을 포착하다!수학동아 l201401
- 연구하는 과학자들도 수학을 활용한다.수학자들은 점(0)과 선(1), 면(2), 그리고 입체(3) 등 정수 단위로 커져가는 차원 개념에 프랙탈 개념을 도입해서 소수점 단위로까지 세분화 했다. 이를 이용해 번개를 분석한 결과 번개의 프랙탈 차원은 약 1.7차원이었다.간헐천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간헐천의 ... ...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수학동아 l201401
- 수학자의 고향은 어디일까?수학자의 자녀교육2009년 여름,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개최된 정수론학회 마감 만찬 도중의 일이다. 피에르 들리뉴 교수가 그의 가족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수학이 인생의 전부인 그에게는 장성한 두 딸이 있는데, 둘 다 수학과는 전혀 무관한 일을 한다는 것이다.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01
- 된다.초대칭성(supersymmetry)은 가장 각광받는 대안이론이다. 초대칭성은 스핀이 반정수(1/2, 3/2,…)인 입자와 정수(0, 1, 2, …)인 입자 사이의 대칭성이다. 우리 우주에 초대칭성이 있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입자들(즉 표준모형의 입자들)은 자신과 스핀이 1/2만큼 차이가 나는 짝(초짝)을 하나씩 갖고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12
- 최소제곱법으로 세레스의 궤도를 예측하다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1777~1855)는 정수론, 통계학, 해석학, 확률론 등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겨 19세기 최대의 수학자로 불린다. 하지만 가우스가 1807년부터 50년 간 독일 괴팅겐대학의 천문대장이었다는 사실은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1801년 이탈리아 ... ...
- [화보] 이슬람으로 떠나는 기하학 산책수학동아 l201311
- 말로, 식물을 기하학적으로 형상화한 무늬를 뜻한다. 아라베스크는 이슬람 예술의 정수라고 할 만큼 벽면이나 공예품, 직물, 그릇 등 이슬람 문화의 전 영역에서 볼 수 있다. 그리스의 별, 이슬람의 타일이 되다!이슬람 문화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무늬 중 하나는 바로 ‘별 모양’이다. 그리스에서 ...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10
- “ALPS로 들어가는 물 자체가 방사능물질뿐 아니라 다른 이물질도 많이 섞여 있어서 정수가 어렵다”며, “방사성물질이 늘어붙은 필터는 또 다른 방사능폐기물이 될 것”이라 덧붙였다. 현재 일본은 이 장치로 제거할 수 없는 삼중수소(트리튬)는 희석해 방류할 수밖에 없다고 밝혀 비판 받고 있다 ... ...
- 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과학동아 l201309
- 것은 아니고 1부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면, 회전하는 전자의 각운동량이 플랑크 상수의 정수배가 되는 궤도만 가능하다.전자가 돌고 있는 고리의 수 N에 따라 원자들의 성질이 결정된다. N=1이면 수소원자, N=2이면 헬륨원자, N=3이면 리튬 원자 등으로 원자들의 성질이 고리의 수에 따라 어떻게 ... ...
- 해리 스위니 교수, 볼츠만 메달 수상! 검은 비닐봉투와 수선화의 공통점은?수학동아 l201309
- 아닌 차원으로, 해안선은 1.4차원, 박테리아는 1.7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렇게 비정수 차원을 갖고 자기 닮은 구조를 한 프랙탈은 복잡한 자연 현상을 해석할 때 요긴하게 쓰인다.“무질서해 보이는 혼돈 상태 속에 숨은 법칙을 찾는 것이 바로 ‘카오스 이론’입니다. 저는 카오스 현상을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