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제"(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수 있는 정보를 모두 지우고 DNA만 공개한다 하더라도 금세 개인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실제 미국 하버드대 라타냐 스위니 교수는 2013년 익명으로 DNA를 기부한 이들의 정보를, 이름과 주소, 우편번호, 생일, 성별 등을 포함하는 선거자 목록과 대조시켜 개인을 식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579명 ... ...
- [과학뉴스] 쪼글쪼글 주름진 미니 뇌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신호가 늘어났지요. 그 결과, 일정한 크기의 대뇌피질 세포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실제 대뇌피질과 비슷한 주름이 생겼어요. 정해진 공간 안에서 세포의 수가 늘어나자 그 공간을 효율적으로 채우기 위해 주름이 만들어진 거예요(아래 사진).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해 봤어요. ... ...
- [도전! 코드마스터] 인공지능이 인간을 위협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45년 경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는 ‘특이점’이 올 거라고 전망했어요. 특이점을 넘어 실제 인간처럼 생각하거나, 인간을 뛰어넘은 인공지능을 ‘강한 인공지능’이라고 불러요. 인공지능의 미래를 걱정하는 사람들은 특이점이 온 순간 사람을 위협하거나 죽이는 인공지능이 등장할 수도 있다고 ...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보기에 좋도록 파이런의 바깥에 폭신폭신한 거품(foam) 재질의 커버를 덧씌우기도 한다. 실제 다리와 비슷해 보이도록 착용자의 피부와 비슷한 톤으로 색을 입히기도 한다.Titanium모든 의족은 의족을 남아 있는 다리 끝부분에 끼워 넣기 위해서 속이 비어 있는 소켓(다른 부분이 들어갈 수 있도록 푹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만든 것이다. 명상이나 스트레칭, 그림 그리기 등 직접 몸을 움직이는 활동 프로그램과, 실제 PTSD 치료에 쓰이는 안구운동민감 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을 응용한기능도 넣었다. 아무 콘텐츠나 보내는 것이 아니라 각 분야 전문가들이 엄선한 콘텐츠를 보내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했다. 조 교수는 ... ...
- Part 1. 블록체인, 거래 장부 공유해 금융의 장 새로 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ASX)는 당일 청산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올해 안에 실제 거래에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글로벌 벤처 캐피털 회사인 산탄데르 이노벤처스는 2015년 발표한 보고서에서 “블록체인을 적용할 경우 2022년까지 매년 150억~200억 달러(약 17조~23조)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 ...
- [에디터 노트] 모두 다 생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요즘 제가 가장 좋아하는 꼭지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지지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실제 연구 현장에서 세계의 연구 트렌드를 따라잡고 있는 눈 밝은 젊은 연구자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연구 주제도 대단히 세련되고 미래지향적입니다. 지난 1월호의 ‘복원력 강한 도시 구조’ 연구나(서울대 송준호 ... ...
- [Origin] 행복은 디테일에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교수와 대학원생 매튜 킬링스워스가 2010년 ‘사이언스’에 밝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제로 행복을 좌지우지하는 요소는 ‘아침 출근 시간의 교통 체증’, ‘친구들과 함께 하는 시간’, ‘맛있는 것 먹기’ 같은 사소한 일이다(DOI: 10.1126/science.1192439).이런 의미에서 행복은 생활 습관과도 같다.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둥둥 떠다니기도 하고, 기체 흐름과 관계없이 아래로 가라앉기도 합니다. 또 실험실에서 실제 산업현장으로 공간의 크기가 커지면 입자의 운동은 더욱 예측하기 어려워집니다.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리적 모델을 만들기는 아주 어렵습니다.”어려운 과제지만 에너지 생산 효율을 획기적으로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나선은 1.24에서 1.43 사이의 비율로 만든 직사각형에서 생긴 나선이라고 밝혔어요.실제로 재보면 어떨까요? 2012년 미국 수학자 조지 하트는 앵무조개를 잘라 그 단면과 황금나선를 비교했어요. 그 결과 앵무조개 나선의 중심에서 그은 직선과 나선이 만나는 점의 길이는 1cm와 3cm, 9.5cm였고, 황금나선은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