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학생이 과학 연구에 관심을 더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 씨는 현재 입자물리, 우주론, 군이론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세 주제 모두 너무 재미있어서 향후 목표는 아직 정하지 못했다고. 커피와 음악에 대한 열정도 커서 언젠가 재즈 카페를 운영하는 것도 소원이란다 ... ...
- [과학뉴스]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왔고, 9월 15일 마지막 임무로 토성 대기권에 진입해 소멸했다. 캐나다 토론토대 이론천체물리학연구소 매트 루소, 댄 타마요 박사후연구원은 토성의 고리들과 주요 위성의 공진 주기를 27옥타브 증가시켜 인간이 귀로 들을 수 있는 범위의 음계로 변환했다. 토성의 고리를 이루는 작은 조각들과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존재를 전송하는 기술 또한 마찬가지였습니다. 저에게는 아무래도 그렇게 보였습니다. 물리적인 실체가 있는 방식이든, 혹은 정보 형태로만 존재하는 것이든, 뇌세포의 연결망을 그대로 복사해서 다른 곳으로 옮긴다는 발상은 실은 디지털 문명 시대의 “전송”과 전혀 다를 바 없는 행위로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심장박동 소리를 고전음악으로 탈바꿈시켰다”고 썼다. 츄 교수는 피아니스트이자 음향물리학자다. 츄 교수팀은 런던 세인트 바르톨로뮤 병원측에서 부정맥 환자의 심장박동 데이터를 제공 받았다. 이를 심박 리듬 패턴에 따라 분류하고 각 그룹을 음악으로 변환했다. 츄 교수팀은 여기에 ‘부정맥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doi:10.1093/chemse/bjs095). 하지만 매티스 교수의 주장은 당시 학계에서는 무시당했다. 기름의 물리적 특성이 미끄럽고 점성이 있는 만큼 느끼함은 맛이 아니라 촉감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매티스 교수는 이를 반박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진행했다. 기름 특유의 미끄러움과 끈적임을 없애기 위해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8억 년 전 우주의 탄생부터 인류 문명의 발전까지를 종합적으로 살피는 거대한 이야기다. 물리학, 화학, 천문학, 지구과학,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철학 등 여러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지역과 시대, 문화별로 파편화된 정보를 연결해 하나의 대서사를 구성한다. 한 마디로 말해 ‘모든 존재의 ...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 있었던 방정식을 무한차원에서도 풀 수 있는지’, ‘무한호텔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물리학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지’와 같은 물음도 최근에야 해결됐다. 인류가 언제 무한의 세계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인류의 호기심과 도전은 끝이 없다. 힐베르트가 말한 것처럼 ... ...
- [과학뉴스] 목성의 오로라 생성 원리 알고 보니 반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빠르게 움직이면서 나타날 것이라고 추정해 왔다. 베리 마우크 미국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연구소 연구원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목성탐사선 ‘주노’가 보내온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목성에서 전자가 가속되는 현상을 포착했지만 강력한 오로라를 발생시킬 정도는 아니었다. 반면 ...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무(無)학과 단일학부제도를 운영하면서 모든 신입생을 기초학부에 소속시키고 수학, 물리, 화학, 생물 등 기초 과목을 수강하게 했다. DGIST 1회 졸업생이 될 4학년 학부생 3명을 만나 DGIST의 강점을 들어봤다. DGIST는 국내 최초로 모든 학생이 전자교재로 공부할 수 있도록 했다. 지금까지 개발한 ...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수집, 공유, 활용이 수시로 이뤄지는 ‘초연결사회’로의 진화가 가속화될수록 사이버물리시스템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Q. DGIST의 강점은 뭔가.앞으로는 ‘대학 타이틀’이 중요하지 않다. ‘블라인드 채용’이 대세가 되는 것만 봐도 그렇다. 결국 어떤 능력을 갖고 있는지가 가장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