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뉴욕에서도 인정받은 허준이 박사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상자와 파이널리스트를 선정해요. 허 박사가 상을 받은 물리학 및 공학 분야는 수학, 물리학, 공학 연구자 중 수상자를 정하지요. 전국 부문은 미국 전 지역에 있는 젊은 교수를 대상으로, 지역 부문은 뉴욕, 뉴저지, 코네티컷 세 지역의 박사후과정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상자를 뽑습니다. 올해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직관력과 지성이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인 아인슈타인에 비견될정도의 인물이다. 아쉽게도 일반 대중에게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로텐디크가 수학자로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던 시기는 1950~1970년대였다. 이 시기에 현대수학의 중요한 분야를 완전히 새로 정립했으며,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찾아냅니다. 커쉬너 박사는 순수 수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지만, 1950년대 말부터 응용물리연구소에서 일하면서 미국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위성항법시스템(NNSS)의 개발 책임자로 일했습니다. 커쉬너 박사는 본인이 찾은 3가지까지 합쳐서 총 8가지가 볼록오각형으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의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구 결과처럼 난자의 유전자가 정자의 유전자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정자와 난자의 물리적인 거리가 매우 가까워야 한다. 즉, 막이 사라지고 하나의 세포로 합쳐졌을 때에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크리스퍼가 정자의 변이 유전자를 자른 시점이 애매해진다. 정자와 함께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니치아 화학공업에서 근무하던 슈지 나카무라 박사가 파란색 LED를 개발해 2014년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것을 계기로 파란색 LED를 기반으로 한 백색 LED가 상업화됐는데, 발광 효율이 낮고 색상이 자연스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 바로 근자외선 LED에 빨강,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런 습관을 기를 수 있는 실용서를 집필했다. 책에는 물리나 천문학적 지식을 나열하는 대신, ‘봉투 뒷면 계산’을 통해 숫자 어림하기, 그래프를 올바르게 읽고 활용하는 법, 확률을 계산하는 간단한 규칙, 통계의 거짓말에 속지 않는 방법,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못했다(과학동아 2017년 1월호 참조).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해 쿠벤호벤 교수와 입자물리학의 석학인 찰스 마커스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 마티아스 트로이어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교수, 데이비드 레일리 호주 시드니대 교수 등과 마요라나 페르미온 양자컴퓨터 개발을 본격적으로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진공 챔버 안으로 외부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 용도로 플라스마를 사용했다. 이론물리학자이자 미래학자인 미치오 카쿠 미국 뉴욕시립대 교수는 이것을 좀 더 발전시켜 ‘플라스마 창(plasma window)’을 제안했다. 플라스마를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가둬 하나의 막을 만들고, 그 안쪽에 고에너지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프린스턴천문대 교수와 그의 제자 리신 리 박사(현재 중국 베이징대 카블리 천문학및천체물리학 연구소 교수)는 1998년 두 개의 중성자별이 충돌하면 짧은 주기를 갖는 초신성인 ‘킬로노바(Kilonova)’가 발생할 거라는 이론을 제안했다. 이 광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후 많은 모델이 제안됐는데,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저희를 무슨 실험실 동물처럼 다루더군요. 2년을 못 버티고 빠져나왔습니다. 그때 약간 물리적 충돌이 있었지요. 그 뒤에 포보스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오시는 길에 핵미사일을 여러 기보셨을 겁니다. 그게 정부의 대응이었고요. 지금은 묘한 대치 상태입니다. 저희는 흩어지면 약합니다. 한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