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28일 가상현실(VR) 비행 시뮬레이션 분야의 권위자인 스위스 취리히예술대 인터랙션디자인학과 맥스 라이너 교수는 자신의 연구실에 있는, 안마기 같은 요상한 흰 기계 위에 다짜고짜 엎드릴 것을 권했다. ‘헤드셋과 선풍기까지 연결된 이 기계의 정체는 무엇일까’ 반신반의하며 초면인 그 앞에서 ... ...
- Part 2. 수학동아, 조직 S의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어린이들은 만 5세부터 산타의 존재를 의심합니다. 재클린 울리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만 5세 어린이의 83%, 7세 어린이의 63%, 9세 어린이의 33%만이 산타가 있다고 믿습니다. 이를 토대로 조직 S가 선물을 전해야 할 우리나라의 어어린이는 대략 몇 명일지 계산해 봤습니다 ... ...
- [과학뉴스] 사라지는 생물을 디지털로 기억하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하지만 일부 종은 인간에 의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립대 생물학과 덩컨 얼시크 교수팀은 모든 생물 종을 디지털 기경록으로 남기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연구팀은 카메라 30개를 이용해 3D로 물체를 스캔할 수 있는 장비, ‘비스트캠’을 이용한다. 비스트캠은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화산 연구기관이 없는 나라도 OECD 국가 중에서 우리뿐일 겁니다.” 손영관 경상대 지질학과 교수는 기관과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실제로 국내 지질학자 중에서 정확히 ‘화산학(Volcanism)’을 전공한 학자는 거의 없다. 화산학으로 학위를 해도 취직할 데가 많지 않기 ... ...
- [Career] “ 땅 속, 바다 아래 에너지 자원 있는 곳 어디든 가죠”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개발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활동무대가 넓은 편이죠.김수연 그렇다면 에너지자원공학과를 졸업한 뒤 진로는 어떤가요?송재준 석유·가스·광물 자원공사와 광물자원개발 기업으로 진출하기도 합니다. 석·박사 과정에 진학하는 친구들도 많고요. 2014~2015년에 48명이 졸업했는데, 그 중 80%는 ... ...
- [지식] 오늘이 사연, 칩 토크 게임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이번 사연, 여러분도 공감하시지요? 중고 거래를 할 때는 늘 걱정이 앞섭니다. 튼튼하다고 해서 믿고 산 물건이 사실은 상태가 별로일까봐서요. 말 박사님, 의사소통 전문가로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번 중고 거래 사연은 꽤 복잡한 의사소통 사례입니다. 일단 물건에 대한 정보를 훨씬 더 많이 ... ...
- [과학뉴스] 광합성의 적, 해충보다 더위!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나무가 저장하는 탄소가 크게 줄었다는 결과가 나왔다.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곤충학과 스티븐 프랭크 교수팀은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 기온이 서로 다른 스무 곳을 선정했다. 각 장소에서 졸참나무(Quercus phellos )를 한 쌍씩 골라 한쪽에만 살충제를 뿌린 뒤, 2년간 해충의 수를 조사했다. 또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적 수준이 낮을수록 문장에 높은 점수를 줬다고 한다. ‘아무 말’은 대체 의학과 영성에 대한 책을 낸 미국 작가 디팩 초프라의 트위터에서 주로 추출했다(판단과 의사결정, 2015, 10(6). 549-563).문학상죽은 파리와 아직 죽지 않은 파리를 수집하는 즐거움에 대해 3권짜리 자전적 소설(ISBN 978-1101870150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포화도가 곤충의 몸집을 좌지우지한 전부는 아니다. 일본 도호쿠대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과 오카지마 료코 박사팀이 산소 분압으로 예측한 과거의 곤충 크기와 실제 곤충의 화석을 비교한 결과, 이론으로 예측한 것보다 실제 곤충 화석의 최대 크기가 작다는 것을 발견했다(고생물학 학술지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알 수 있을까. 지난 6월 과학잡지 ‘사이언스’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리 및 행성학과 조세프 커슈빙크 교수가 영국왕립학회에서 발표한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doi: 10.1126/science.aaf5803). 커슈빙크 교수는 알루미늄 벽에 코일을 넣어 인위적으로 자기장을 걸 수 있는 방 안에서 사람이 자기장을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