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핵겨울을 조심해!멕시코 ‘유카탄 반도’에는 지름 130km의 크레이터가 숨어 있어요. 약 6500만 년 전, 지름 10km가 넘는 초거대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한 흔적이지요. 과학자들은 이 충돌의 결과로 공룡을 포함한 약 78%의 생물종이 멸종한 것으로 보고 있어요. 소행성 충돌 당시의 충격파도 문제였지만, ... ...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지구를 향해 소행성대에서 탈출~!약 46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당시, 태양 주변에는 크고 넓은 먼지 원반만 존재했어요. 이 원반에 있던 여러 물질이 서로의 중력에 이끌려 뭉치면서 태양계의 여러 천체를 만들었답니다. 이때 크게 뭉친 것들은 둥그런 행성이 되었지만, 충분한 크기로 뭉치지 못 ...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부수지 말고 다른 궤도에 양보하세요!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은 우주에서 파괴하는 방법이 가장 좋아 보여요. 하지만 이 방법은 또 다른 위험을 불러와요. 소행성의 파편이 지구 궤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무도 알 수 없거든요.그래서 과학자들은 소행성을 그대로 두거나 일부만 망가뜨린 채, 날 ... ...
-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수심 2000~4000m의 깊은 바다에 사는 귀염둥이 문어 ‘그림포텔우티스’라고 해. 만화 속에서 귀를 펄럭이며 하늘을 나는 코끼리, 덤보를 닮았다고 해서 ‘덤보문어’라고도 불리지. 이렇게 내가 너희를 찾아온 이유는 꼭 하고 싶은 말이 있어서야. 우리 아빠가 그러는데…, 미래는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가을에는 특히 더 조심해야 한다”고 충고했어요.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환경의생물학과 용태순 교수는 “털진드기는 가을에 유충이 많아지므로 가을에는 특히 더 조심해야 한다”고 충고했어요.목숨을 위협하는 말벌이 늘고 있다!지난해 9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어요. 말벌집을 제거하기 위해 ... ...
- [수학 뉴스] 중독성 강한 노래가 히트한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약 8만 개의 의견을 달았는데, 영국인의 생각과 같았습니다. 켈리 자쿠보스키 더럼대 음악학과 연구원는 “이번 연구는 대중가요를 작곡하거나 광고 음악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11월 3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지식] 게이머가 풀어야 할 대난제 랜덤박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샀지만, 랜덤박스 시스템에서는 불가능하다.이에 대해 이정엽 순천향대 한국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굉장히 많은 수의 뽑기를 해야만 자신이 원하는것이 나온다”며, “랜덤박스는 게이머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늦춘다”고 말했다. 결국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돈을 많이 써야 하는 구조다 ...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다.엄친아, 디지털 완구 시대를 꿈꾸다안정훈 셈스게임즈 대표는 서울대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LG전자를 거쳐 화장지와 일회용 기저귀 등을 만드는 킴벌리-클라크에서 일했다. 흔히 말하는 ‘엄친아’로, 꽃길만 걸었다.그러던 2011년 돌연 회사를 그만두고, 대학 친구 4명과 스마트기기에서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여성은 여전히 소수지만, 물리학은 특히 성격차가 매우 크다. 미국 대학의 물리학과 교수 중 여성의 비율은 11%에 불과하다.연구자들은 고정관념이 큰 방해물이라고 지적한다. 18세기 볼테르는 독일 프로이센의 국왕 프리드리히 2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에밀리는 위대한 사람이지만 그의 유일한 ... ...
- [Tech & Fun] 공감만으론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생각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DOI: 10.1037/emo0000228). 연구를 이끈 미국 예일대 심리학과 매튜 조던 박사와 폴 블룸 교수팀은 “많은 사람들이 공감과 타인을 위하는 일이 같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큰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오히려 이런 능력은 감정이나 행동의 전염, 위험한 ... ...
이전1411421431441451461471481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