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포유류 수염의 구부러짐, 시뮬레이션으로 알아본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휘어지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모형화해 4월 1일 국제학술지 ‘플로스 전산생물학’에 발표했습니다. 이들이 개발한 모형은 3차원 공간에서 수염의 강성과 위치 변화, 텐서를 변수로 사용합니다. 여기서 강성이란 물체가 외부 힘으로 인한 변화에 저항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텐서는 회전 등의 정보를 ... ...
- [매스미디어] 샤이니의 숨은 노래로 본 슈퍼문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분석해보자.‘Selene’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신이다. ‘6.23’은 이 곡이 발표된 2013년 6월 23일을 뜻한다. 눈치 빠른 독자라면 ‘2013년 6월 23일 달과 관련된 어떤 일이 있었나?’ 하는 의문이 들 것이다. 그렇다! 바로 이날은 2013년에 떴던 보름달 중 가장 큰 보름달인 ‘슈퍼문’이 뜬 ... ...
- [기획] 17세기에도 있었다! 수학자 명가 ‘베르누이 가문’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발표합니다. 연구 결과 역시 매우 비슷했는데, 요한이 이 성과를 가져가기 위해 연구 발표 날짜를 조작했죠. 그리고 다니엘의 다른 발견도 훔쳐 자신의 것으로 뒤바꿉니다. 얼마 뒤 사건의 진실이 드러나 다행히도 유체역학에서의 중요한 발견은 모두 다니엘의 몫이 됐습니다. 지금까지도 다니엘은 ... ...
- [논문탐독] 오류에서 찾은 혁신의 실마리 주사터널현미경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이전까지 스핀 탐침을 만드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작업이었는데요.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 많은 과학자들이 이 방법을 이용해 스핀 탐침을 제작하고 있습니다.이 연구는 과학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포기하지 않고 답을 구하는 끈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줍니다. 미지의 난관에 부딪히더라도 ... ...
- [특집] 겨울잠, 인간도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연구팀도 시상하부 가까이서 겨울잠을 유도하는 ‘휴면유도 신경’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세포를 약물로 자극하자, 30분 만에 쥐의 체온이 37℃에서 24℃로 떨어지면서 토르퍼 상태가 되었죠. 두 연구팀은 이 연구를 발전시키면 인간의 겨울잠을 유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답니다. _ ... ...
- [핫이슈] 지 프라임? 렙토쿼크? 새 입자가 LHC 실험결과 설명할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모두 종합해 재검토한 결과를 3월 말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에 발표했다. B중간자가 전자로 붕괴하는 경우는 뮤온으로 붕괴하는 경우보다 15% 더 많았다.통계적 유의성은 3.1 시그마였다. 이는 측정값이 우연으로 나타났을 가능성이 약 1000분의 1이라는 뜻으로, 학계에서는 ... ...
- 거대 갑옷공룡의 독특한 생존법 ‘땅파기’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부위를 해부학적으로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 ‘사이언티픽 리포트’ 3월 18일자에 발표했다. 몸통이 온전하게 보존된 갑옷공룡의 골격을 분석한 논문은 이번이 처음이다.분석 결과, 연구팀은 갑옷공룡의 앞발 발바닥 뼈가 삽과 유사한 둥근 호 모양으로, 부드러운 땅을 파기에 적합한 ... ...
- 한없이 완벽에 가까운 천연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천연염료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e7871연구팀은 안토시아닌 색소를 구성하는 분자 중 하나인 ‘P2’를 알루미늄 양이온과 함께 배양하면 안정적인 푸른빛을 띤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3개의 P2 분자가 1개의 알루미늄 ...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음식을 섞어 먹였을 때 효과가 가장 뛰어났죠. 두 연구는 2019년 7월 12일 ‘사이언스’에 발표됐습니다. doi: 10.1126/science.aau4735, doi: 10.1126/science.aau4732 그리고 올해 4월 7일 같은 연구소의 로버트 첸 연구원팀이 병아리콩과 바나나, 콩, 땅콩가루를 기름에 섞어 자체 개발한 보조식품(M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7000년 전 루손섬에서 살았던 고인류는 2019년 새로운 종 호모 루조넨시스(Homo luzonensis)로 발표됐다. 이들이 새로운 종인지, 아니면 플로레스섬의 고인류와 같은 종인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인지, 아니면 호모 에렉투스나 호모 사피엔스인지 아직 분명하지 않다. 종의 분류보다 더 흥미로운 질문은 이들의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