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공유했습니다. 이 와중에 ‘어떤 사실’을 눈치챈 엄상일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수상자
발표
직후 트윗을 올렸습니다. 바로 두 수학자의 아들들이 아버지와 같은 분야를 전공하고 있고, 심지어 박사과정 지도교수도 제이콥 폭스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로 같다는 것입니다. 두 명의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수학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인 수학 연보(The Annals of Mathematics)에도 논문 두 편을
발표
했습니다.1960년엔 새로운 단순군을 찾아내고 자신의 이름을 따 ‘리 군(Ree Group)’ (리 군(Lie group)과는 영문명칭이 다릅니다!)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그의 다양한 업적을 인정한 프랑스의 세계적인 수학자 장 ...
[과학뉴스] 태양계에서 가장 먼 천체 신기록 ‘파파아웃’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 인류가 지금까지 발견한 천체 중 태양계에서 태양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고
발표
했어요. 파파아웃이라 불리는 ‘2018 AG37’은 2018년 미국 하와이대학교 천문학연구소(IfA) 데이비드 톨렌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하와이 마우나케아 천문대에서 스바루 망원경으로 처음 발견했어요. 스바루 ... ...
[가상 인터뷰] 거미줄 도르래로 무거운 것도 거뜬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푸뇨 교수 연구팀은 꼬마거미과 거미가 거미줄을 도르래처럼 사용하는 게 그 비결이라고
발표
했어. 연구팀은 별무늬꼬마거미 네 마리와 또다른 꼬마거미과 거미인 ‘스테토다 페이쿨리아나(Steatoda paykulliana)’ 한 마리를 검은색 상자에 넣었어. 거미가 흰색 거미줄을 어떻게 짜는지 쉽게 보기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나무 나이테에서 아주 오래전 일어난 초신성 폭발의 증거를 찾았다고 지난해 11월에
발표
했어요.초신성은 별의 일생에서 죽음의 단계에 해당해요. 어떤 항성이 마지막 단계에 이르면 폭발하면서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엄청난 양의 감마선을 방출하지요. 감마선은 방사성 물질*에서 나오는 ... ...
[통합과학 교과서] 맛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교수팀은 전자코와 전자눈을 이용해 닭고기를 맛있게 굽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지난 1월
발표
했답니다. 연구팀은 닭고기를 구울 때 냄새와 색으로 닭고기의 익은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어요. 그리고 전자코에 센서를 달아 닭고기의 냄새 분자나 닭고기의 온도, 주변 습도를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유대류, 감칠맛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연구자들이 혀에서 ‘감칠맛’을 느끼는 글루타메이트 수용체를 찾았다고
발표
했어요. 요리책에서만 나오던 감칠맛이 다섯 번째 기본 맛으로 인정받는 순간이었죠.감칠맛은 1908년 발견되었어요. 일본의 이케다 기쿠나에 교수는 다시마 국물의 감칠맛이 아미노산의 하나인 ‘글루타메이트’에서 ... ...
밥이 보약이 될수 있다? 식품 광고 대해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주가는
발표
이후에 급등했다가
발표
를 둘러싼 논란이 불거지면서 다시 급락했습니다.
발표
의 근거가 된 연구가 동물시험이나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았던 데다, 불가리스 7종류 제품 중 1종류 제품에 대해서만 코로나19 항바이러스 세포실험을 했음에도 불가리스 제품 전체가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는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인류 진화 저널’에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의 대퇴골을 분석한 논문 한 편이
발표
됐다. 로베르토 마키아렐리 프랑스 푸아티에대 지구과학과 교수팀은 2001년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의 화석과 함께 발견돼 2004년 영장류의 것으로 분류된 대퇴골 화석을 분석했다. 대퇴골 화석은 발견 초기에는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1위를 차지했다. 최초의 블랙홀 그림자 관측과 40년 만에 개발된 에볼라 치료제 등 그해에
발표
된 굵직한 이슈를 제친 결과다. 고인류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확인시켜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이런 관심에도 불구하고 데니소바인의 정확한 정체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2008년 시베리아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