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세포를 색칠해 최초의 암세포 골라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다른 색깔로 표지해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6월 2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1-03605-0연구팀은 생쥐 모델을 이용해 레드투온코(Red2Onco) 시스템을 만들었다. 같은 조직 내에서 특정 암 유전자를 발현하는 암세포와 주변 정상세포를 동시에 다른 형광 단백질로 ... ...
- 그들은 왜 암호화폐를 샀을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베이징 중국과학원(CAS), 베이징대 등 공동연구팀이 4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지금과 같은 상황이 유지될 경우 2024년에는 비트코인으로 인한 중국 내 연간 에너지 소비량이 296.59TWh로 정점에 도달하게 되고, 탄소 배출량은 1억 3050만 t(톤)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 ...
-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과학동아 l2021년 07호
- doi: 10.1890/10-1583.1가장 유력한 가설은 요시무라 진 일본 시즈오카대 교수가 1997년에 발표한 수학적 설명이다. 요시무라 교수는 13, 17 등의 소수는 최소공배수가 커서 다른 주기를 갖는 매미와의 교잡과 경쟁을 피할 수 있고, 그 결과 소수주기로 진화한 매미들이 자손들을 많이 남기고 살아남았다고 ... ...
- [인포그래픽] 초미세회로 & 적층 패키징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한정된 비용으로 더 많은 반도체를 만들고,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반도체를 심기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 두 가지로 반도체 제조 기업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판가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앞다퉈 발표되고 있는 두 기술의 주요 포인트를 소개한다. ...
- [이달의 책] 수학의 아름다움을 발칙하게 보여주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플로리다대 수학과 교수가 경제지 포브스에 빨대의 구멍은 1개라는 내용의 기고문을 발표하고 나서야 종식됐다. 너드슨 교수는 위상수학의 개념을 빨대에 적용해 설명했다. 빨대는 구멍이 하나인 도넛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핵심이었다.수학 개념을 설명하는 데 이보다 더 명쾌하고 ... ...
- [특집] 비건 패션, 트렌드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동물성 소재보다 탄소중립적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에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1038/s41893-020-00606-1국내에서는 2015년 한원물산이 한지로 만든 가죽 ‘하운지’를 선보인 바 있다. 닥나무 인피로 만든 한지에 면이나 레이온 등을 덧대어 제작했기 때문에 닥나무의 특성을 ... ...
- [한페이지 뉴스] 무엇이든 잡는 로봇손, 비밀은 손바닥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스마트공장의 협동 로봇과 위기 상황을 타개해줄 재난구조 로봇, 우주에서 쓰일 수리 로봇까지 로봇의 쓰임새는 무궁무진하다. 무엇이든 집을 수 있는 만능 로봇 ... 가능케 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5월 12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126/scirobotics.abd266 ... ...
- [SF소설] 랄로랑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손짓을 하며 말했다. “저녁 세션에서 천천히 얘기하죠. 그리고 오늘 아침 중국 대표가 발표한 것처럼, 온화지역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어요. 우리가 찾아야 할 건 당장 도망갈 곳이 아니라 지속해서 살아남을 방법입니다.”“제가 짧게 몇 마디를 해도 될까요?” 필리핀 대표가 손을 들며 말했고 ...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논쟁, ‘투명성’에 주목해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물에 희석해 농도를 WHO 기준보다 낮은 리터 당 1500Bq으로 낮춘 뒤 방출하겠다고 발표했다.이를 둘러싸고 여러 우려가 나왔으나, 현재로서는 과학적으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게 중론이다. 먼저 아무리 적은 양이라도 삼중수소는 인체의 유기물질과 결합해 유기결합삼중수소(OBT)를 형성해 치명적일 ... ...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후쿠시마에서 태평양에 오염수를 방류했을 때 확산 과정을 모의실험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229일이 지나면 오염수가 제주도에 도달합니다. 방출될 때의 농도가 1이면 제주에 도착할 때쯤엔 1천조분의 1로 낮아진다고 합니다.우리나라에서도 일본의 오염수 방류에 대비해 연구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