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DNA는 이중나선이라는 상당히 안정적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다음 세대로 유전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런 DNA의 이중나선 구조는 염기쌍이 서로 수소결합으로 연결될 때 나타난다. 만약 수소결합이 아닌 다른 종류의 결합으로 연결될 경우 염기쌍의 간격은 유지돼도 DNA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안쪽면은 넓고 편평하며, 두덩밑 함몰은 오목하다. 이 또한 모두 남성의 특징이다.다음으로는 두개골을 확인할 차례다. 대개 비계측적인 5점 척도검사를 이용해 각 부위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성별을 확인하는데, 목덜미뼈마루의 크기와 주름, 유양돌기의 크기와 모양, 눈확위뼈 가장자리와 ...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우주에서 수소와 헬륨 다음으로 흔한 원소로 각종 원소와 반응해 다양한 산화물을 생성한다. 그만큼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우리에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원소 중 하나다. ‘익숙함에 속아 소중함을 잊지 말자’는 문구는 어쩌면 산소를 위한 말일지도 모른다. "산소의 발견은 ...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식후경. 버스에서 내린 학생들은 갯벌 부근 바위에 앉아 샌드위치로 체력을 비축했다. 다음날 비가 온다는 소식 때문인지 바닷바람이 시원하게 불어왔다. 최고 기온이 26도에 이르는 더운 날씨였지만, 그늘 한 점 없는 갯벌에 들어가도 덥게 느껴지지 않을 만큼 딱 좋았다. 갯벌 보호를 위한 강의에 온 ... ...
- [Go!Go!학자]곳곳에 숨겨진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시험 삼아 몇 군데를 조사해 봐요. 이 과정에서 정말로 유적이 있다는 확신이 생긴 다음에야 정밀한 조사를 시작하죠. 우선 조사 장소 주변을 걸어 다니면서 눈으로 흔적을 찾아봐요. 예를 들어, 유적 주위 밭의 고랑을 살펴보면 땅을 갈아엎으면서 올라온 토기 조각을 찾을 수도 있거든요.하지만 이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큰개불알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큰개불알풀의 꽃은 매일 새로워요. 늦은 오후가 되면 그날 피운 꽃을 땅에 떨어뜨리고, 다음 날 아침 새로운 꽃을 다시 피우거든요. 6월에 꽃이 모두 지면 그 자리에는 타원형의 납작한 열매가 조그맣게 2개 열려요. 이 모습이 개의 불알(공처럼 생긴 수컷 생식기의 한 부분)을 닮았다고 해서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끌지 못했다. 필자는 그 이유가 ‘스타트렉’의 모든 에피소드에서 도입부로 등장하는 다음 문구에 있다고 생각한다. “우주, 최후의 개척지(frontier). 우주선 엔터프라이즈호는 항해한다. 이들의 거듭된 임무는 새로운 세계를 탐험하고, 새로운 생명과 문명을 발견하고, 아무도 가보지 못한 곳(where ... ...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에너지까지 갖췄으니 로보트 재권V가 세상과 만날 준비가 어느 정도 된 것 같습니다. 다음 호에는 로보트 재권V가 사물을 알아보고 사람과 대화하게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To be Continued. 글. 한재권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점차 그림의 범위를 좁히고, 위치를 바꾸면서 반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로 전 단계와 다음 단계에서 계산한 값의 차이가 그림에서 해당 영역의 특징을 알려주는 정보가 되기 때문입니다.진품과 위작에서 똑같은 계산을 한 뒤 양쪽의 결과를 비교하면 주저함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생깁니다. ... ...
- 라돈침대 1년...국가대표 '라돈헌터' 라돈아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물질이지만, 몸에 해를 끼치는 유독 물질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라돈을 흡연 다음으로 폐암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고 있다.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라돈은 호흡을 통해 인체 내에 들어와 피폭을 일으킨다. 하지만 색깔도 없고 냄새도 나지 않아 ‘침묵의 살인자’로 불린다. 고 대표는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