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검시관의 사건노트] 혈흔과 뼈가 말하는 살인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안쪽면은 넓고 편평하며, 두덩밑 함몰은 오목하다. 이 또한 모두 남성의 특징이다.다음으로는 두개골을 확인할 차례다. 대개 비계측적인 5점 척도검사를 이용해 각 부위에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성별을 확인하는데, 목덜미뼈마루의 크기와 주름, 유양돌기의 크기와 모양, 눈확위뼈 가장자리와 ... ...
- “탄소 저장한다니 신기해요” 소금 땅에서 만난 빨간 식물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식후경. 버스에서 내린 학생들은 갯벌 부근 바위에 앉아 샌드위치로 체력을 비축했다. 다음날 비가 온다는 소식 때문인지 바닷바람이 시원하게 불어왔다. 최고 기온이 26도에 이르는 더운 날씨였지만, 그늘 한 점 없는 갯벌에 들어가도 덥게 느껴지지 않을 만큼 딱 좋았다. 갯벌 보호를 위한 강의에 온 ...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점차 그림의 범위를 좁히고, 위치를 바꾸면서 반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로 전 단계와 다음 단계에서 계산한 값의 차이가 그림에서 해당 영역의 특징을 알려주는 정보가 되기 때문입니다.진품과 위작에서 똑같은 계산을 한 뒤 양쪽의 결과를 비교하면 주저함에서 나타나는 차이가 생깁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고무줄 탄성을 이용해 총알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묶는다.➋ 삼각형의 한쪽 변에 연필 1개를 더 묶는다.➌ 자에 고무줄을 2번 감아준 다음, 두 연필 사이로 집어넣는다. 고무줄을 연필 아래로 넘겨 자에 걸친다.➍ 다시 고무줄을 연필을 넘어 자 뒤로 한번 넘겨서 걸친다.➎ 양면테이프로 자에 병뚜껑을 붙이면 완성! 찰흙 공을 만들어 병뚜껑에 올려 ... ...
- [수학 THE LOVE] 12년 만에 치른 과학고 중간고사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과학 과목에 널리 쓰이는, 기초 중의 기초다. 결국 답을 내지 못한 채 세월을 탓하며 다음 문제로 넘어갔다.2번은 복소수의 성질에 관한 문제였다. 복소수는 실수와 허수를 포함한 수 전체로, 고등학교 교과 과정에서 처음 등장한다. 그래서 복소수에 관한 문제는 대개 실수와 다른 복소수의 성질을 ... ...
- Step3. 수학으로 예보 정확도 높인다! ‘자료 동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가축을 키우거나 거름이나 비료를 사용하는 농업에서 인위적으로발생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중국 산둥 지방의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황과 우리나라에서배출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또는 연료를 태울 때나오는 질소산화물을 줄여야 한다고 나왔죠 ... ...
- [맛있는 수학] 솔로몬의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19년 06호
- 팬케이크는 부피가 0이 아니므로 3차원 햄 샌드위치 정리로 답을 찾을 수 있어요. 그 다음 잘린 3장의 팬케이크를 2차원 평면에 대응하면 근사적인 답을 얻을 수 있죠. 집합에서도 쓸 수 있다 그런데 이런 햄 샌드위치 정리는 물체에만 쓸 수 있는 게 아니에요! 이산수학에서는 집합을 정확히 반으로 ... ...
- 오퍼튜니티가 미래의 로버에게 전하는 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구조로 바퀴를 연결해 충격을 줄였어요. 이 구조는 가운데 바퀴와 뒷바퀴를 연결한 다음 이 축을 앞바퀴와 연결해요. 이 구조는 울퉁불퉁한 지면에서도 6개의 바퀴가 지면에 붙어 있을 수 있어요. 즉, 이동할 때 충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거예요. 그런데 차체가 무거워진 만큼 장애물에 부딪혔을 ...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DNA는 이중나선이라는 상당히 안정적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다음 세대로 유전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런 DNA의 이중나선 구조는 염기쌍이 서로 수소결합으로 연결될 때 나타난다. 만약 수소결합이 아닌 다른 종류의 결합으로 연결될 경우 염기쌍의 간격은 유지돼도 DNA ... ...
- [로보트 재권V] 로봇, 1시간 움직이게 해보자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에너지까지 갖췄으니 로보트 재권V가 세상과 만날 준비가 어느 정도 된 것 같습니다. 다음 호에는 로보트 재권V가 사물을 알아보고 사람과 대화하게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To be Continued. 글. 한재권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 ...
이전142143144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