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세포 하나도 수를 셀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10
얼 밀러 박사팀은 이같은 내용을 원숭이의 뇌세포 연구를 통해 밝혀 ‘사이언스’ 9월 6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신경세포가 개별적으로 어떤 개념을 다룰 수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원숭이에게 다양한 형태와 모양, 그리고 배치를 가진 점의 그룹을 보여줬다. 그리고 대뇌피질 중 전두엽 피질에 ... ...
말미잘 닮은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0210
수 있고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로봇이 탄생했다는 소식이 영국 BBC방송 인터넷판 9월 2
일자
에 보도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이 로봇은 말미잘(sea anemone)의 이름을 딴 ‘퍼블릭 아네모네’로 명명됐으며, 바다처럼 꾸민 수족관 속에서 실제 말미잘처럼 빛과 접촉에 대해 ... ...
사정 현상 조절하는 신경세포 분리
과학동아
l
200210
박사팀은 쥐의 척수에서 사정을 조절하는 신경세포를 발견해 ‘사이언스’ 8월 30
일자
에 발표했다.트루이트 박사팀은 쥐의 척수 하단부에 자리잡고 있는 특정 신경세포를 주목했다. 실험결과 이 신경세포의 활성을 제거하면 성행위를 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결코 정자를 내보내지 못하는 ... ...
다이아몬드 반도체 개발
과학동아
l
200210
쪼여 막 상태의 다이아몬드 결정을 만드는데 성공해, 이 결과를 ‘사이언스’ 9월 6
일자
에 발표했다.기존의 실리콘 반도체는 1백50℃까지 견딜 수 있는 반면, 다이아몬드는 4백℃가 넘는 온도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차세대 반도체 재료로 주목받고 있었다. 연구팀이 이번에 이용한 방법은 ... ...
자가조립하는 나노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210
연결하는 나노 네트워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 9월 16
일자
에 발표했다.탄소나노튜브는 두께가 수-수십nm로 머리카락보다 10만배나 가늘고, 구리나 은보다 열전도율이 1천배 이상이며, 전기전도도가 월등히 높다. 때문에 나노 디바이스의 도선으로 이상적이라고 생각돼 ... ...
레이저로 고통 없이 치아 치료
과학동아
l
200209
치아를 손상시키지 않고 치석 등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응용물리학저널’ 8월 15
일자
에 발표했다.과학자들은 의학용으로 널리 쓰이는 레이저가 치과의사의 드릴을 대신할 수 있을지를 연구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레이저가 이의 단단한 부분만을 제거할 수 있었다. 이들 연구는 피코초 ... ...
파도소리 비밀 밝히는 기포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9
모르겠다. 이 파도 소리의 비밀을 벗기는데 한단계 나아간 연구결과가 ‘네이처’ 8월 22
일자
에 발표됐다. 파도소리는 기포들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파도가 부서지면서 생기는 수많은 기포가 다양한 자연현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기포는 파도소리의 발생은 물론 ... ...
눈으로 단어를 입력한다
과학동아
l
200209
기존의 개념에서 한단계 발전한 스크린 키보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네이처’ 8월 22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손으로 자판을 두드려 글자를 입력하는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눈의 움직임과 카메라, 그리고 글자조합 키보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빠르고 간편하게 자료를 입력할 수 있는 ... ...
도구 사용하는 까마귀
과학동아
l
200209
낚기 위해 갈고리 모양의 도구를 만드는 것을 처음으로 관찰했다고 ‘사이언스’ 8월 9
일자
에 커버스토리로 발표했다.도구를 쓰는 까마귀는 남서태평양 누벨 칼레도니아 제도에서 사로잡힌 수컷 ‘아벨’과 암컷 ‘베티’. 연구팀은 긴 시험관에 아주 작은 양동이를 넣고 그 안에 먹이를 놓았다. ... ...
인간이 말할 수 있는 유전학적 이유
과학동아
l
200209
비해 두개의 부분에 중요한 변이가 일어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네이처’ 8월 15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의 볼프강 에나르드는 이 변이는 말할 때 입과 성대를 부드럽게 놀리는 인간의 능력에 영향을 줬고, 이에 따라 언어가 발달했을지 모른다고 말했다.언어는 사람에게 고유하다. 침팬지는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