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이공계 기피 원인 지표 뒤집기
과학동아
l
200204
인력의 공급이 집중되면서 학문 발전과 연구 개발에 불균형이 생겼고, 공부를 마치고도
일자
리가 없어 연구소마다 비정규직 연구원이 넘쳐나는 실정이다.선진국에선 쉽게 볼 수 있는 백발의 연구원과 엔지니어를 우리나라 연구소에선 찾아보기 어렵다. 우수한 학생/대학원생들은 외국 유학을 떠난 ...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
과학동아
l
200204
소식을 듣고 기자에게 이메일을 보내와 “같은 연구실의 조재선 박사가 사이언스 8
일자
에 게재될 이번 연구논문의 공동 저자로 돼 있다”며 “세계적인 관심사가 된 연구에 조 박사가 참여했다는 사실을 한국인들에게 알려주길 바란다”고 부탁했다.조 박사는 1999년 2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에서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
과학동아
l
200204
사건이었다. 곧이어 이러한 내용은 강력한 호기심의 대상으로 떠올랐다.1896년 9월 8
일자
뉴욕의 ‘일렉트리컬 엔지니어링’(Electrical Engineer)신문에 실린 기사는 이러한 상상이 현실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남편이 하녀와 바람피운다는 증거로 X선 사진을 제출했다는 내용이다. 남편의 ... ...
평생 충치 예방하는 치약
과학동아
l
200203
조작해 변종 박테리아로 바꿈으로써 충치를 예방할 수 있다는 소식이 ‘네이처’ 2월 17
일자
에 보도됐다.미국 플로리다대의 제프리 힐맨 교수팀이 그 주인공. 연구팀은 변종 박테리아를 이용해 평생 동안 충치를 예방할 수 있는 치약을 개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스프레이 형태인 이 치약은 약 5분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온도계
과학동아
l
200203
${10}^{-6}$m), 지름 75nm(1nm=${10}^{-9}$m)인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온도계가 개발됐다고 지난 2월 7
일자
‘네이처’가 보고했다. 이 정도의 길이는 머리카락 두께(약 1백μm)보다 약 10배 가늘다. 따라서 인간의 눈에는 이 온도계가 단지 보일듯 말듯 할 정도로 작은 점일 뿐이다.이 온도계는 나노과학을 이끄는 ... ...
구겨진 종이에 관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3
어떤 비밀이 숨어있을까. 이에 대한 연구가 물리학 저널인 ‘피지컬 리뷰 레터’ 2월 18
일자
에 발표됐다.사실 종이를 구기는 일은 별 노력이 들지 않고 매우 간단하다. 하지만 종이를 아무리 센 힘으로 구기더라도, 구겨진 종이뭉치를 75% 이상 차지하는 것은 공기다. 얇은 종이에 불과한데 왜 이토록 ... ...
중력의 양자효과 처음 관측
과학동아
l
200202
로-랑제빈 연구소의 발러리 네스비제스키 박사팀이 성공시킨 이 연구는 ‘네이처’ 1월 17
일자
에 소개됐다.자연에 존재하는 4가지 기본힘인 전자기력, 약력, 핵력, 그리고 중력의 영향을 받는 물체는 모두 이론적으로 불연속적인 에너지 값을 갖는다. 실제 중력을 제외한 다른 힘에서는 이같은 ... ...
장기이식용 돼지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202
박사, 그리고 미주리대 박광욱 연구원이 참여했으며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1월 4
일자
에 게재됐다.또한 복제양 돌리를 만든 영국 스코틀랜드의 생명공학회사 PPL 세러퓨틱스도 1월 2일 이 유전자를 제거한 복제돼지 5마리를 작년 크리스마스 때 탄생시켰다고 발표했다. 연구책임자인 앨런 콜먼 ... ...
박치기 명수 거북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02
풀어주지 못한다.거북선의 생김새에 관한 비교적 상세한 기록은 선조 25년(1592) 5월 1
일자
실록에 실려있다. ‘이순신은 전투 장비를 크게 정비하면서 자의로 거북선을 만들었다. 이 제도는 배 위에 판목을 깔아 거북 등처럼 만들고 그 위에는 우리 군사가 겨우 통행할 수 있을 만큼 십자로 좁은 길을 ... ...
통증 관여하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202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를 생물학 분야에서 권위있는 학술지 ‘셀’ 1월 11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이 발견해 DREAM이라고 명명한 통증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다이노르핀이란 생체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다이노르핀은 통증이 발생하면 몸속에서 이에 대항하기 위해 만드는 ... ...
이전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