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자"(으)로 총 1,6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머리가 편안해야 장수한다 베개의 과학과학동아 l200304
- 누울 경우 베개는 어깨 높이를 고려해 2cm 정도 더 높아야 한다. 정면에서 봤을 때 경추의 일자 형태가 유지돼야 무리가 가지 않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호텔은 1인용 침실이어도 베개를 2개씩 갖추고 있다. 이는 바로 누웠을 때는 1개의 베개를 사용하고 옆으로 누웠을 때는 2개를 사용하라는 뜻이다 ... ...
- 가장 무거운 수소 동위원소 발견과학동아 l200304
- 수소-7(원자가질량이 7)이 검출됐다고 물리학 저널인 ‘피직스 리뷰 레터스’ 2월 28일자에 발표됐다.이번 발견에는 일본, 러시아, 영국, 프랑스, 그리고 스웨덴의 국제공동 연구팀이 참여했다. 이들은 헬륨-8(양성자 2개, 중성자 6개인 헬륨의 동위원소)로 만들어진 고에너지빔을 극저온의 수소 원자에 ... ...
- 살해 시기와 장소 밝혀내는 동위원소과학동아 l200304
- 알아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발견됐다. 영국의 과학대중지 ‘뉴사이언티스트’ 3월 15일자는 영국 레딩대 환경지구화학자인 스튜어트 블랙 박사가 체내 동위원소를 이용해 희생자의 사망시기와 장소를 알아내는데 성공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실제로 블랙 박사는 흉기에 찔린 후 불에 타 사망한 ... ...
- 바빌론에서 바그다그까지 문명의 요람 이라크과학동아 l200304
- 규정한 국제 의정서를 존중해야 한다는 내용의 기고문을 과학전문지‘사이언스’3월 21일자에 발표했다.기고문에서 학자들은 폭격과 탱크 공격뿐 아니라 전쟁 이후 통치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면, 고고학적 가치가 높은 유물들이 약탈로 인해 훼손되거나 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1991년 ... ...
- ① 돌리는 태어날 때부터 6살이었다?과학동아 l200303
- 줄었다 늘었다 복제동물의 텔로미어영국의 PPL 세러퓨틱사는 1999년 ‘네이처’ 5월 27일자에 돌리의 텔로미어(telomere)가 짧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텔로미어는 염색체의 끝부분에 있는 단백질과 DNA의 결합체로 분열과정에서 염색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분열이 계속되면 텔로미어가 닳으면서 ... ...
- 노화방지 효소 구조 최초 규명과학동아 l200303
- 구조와 작용과정을 밝혀냈다고 발표했던 것.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2월 14일자에 실렸다.국내 교수나 박사과정의 학생이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한 적은 있었지만 석사과정 여학생이 제1저자로 이 잡지에 논문을 발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 논문에는 이화여대를 졸업한 뒤 현재 미국 ... ...
-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과학동아 l200303
-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을 비교해 새로운 계통도를 만들어냈다. 2001년 9월 13일자‘네이처’에 발표된 이 연구(그림 5)에 따르면 풍뎅이나 나비와 같은 곤충류는 겉모양이 비슷한 지네나 노래기 등의 다지류보다는 게, 새우, 물벼룩이 속하는 갑각류와 유전적으로 더욱 가까운 관계에 있었다 ... ...
- 키스할 때나 누드일 때나 조각상은 우파과학동아 l200303
- 조각상을 앞세워 인체의 비대칭성을 연구한 논문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1976년 2월 5일자 ‘네이처’에는 영국 퀸엘리자베스 병원 신경외과의 맥마누스 박사의 한쪽 짜리 논문이 실렸는데, 논문 제목이 고약하게도 ‘고대 남성 조각상과 실제 남성에게서 보이는 음낭의 비대칭성’이었습니다. ... ...
- 주름살은 골과 마루의 물리적 파동과학동아 l200303
- 가방에 생기는 주름에 대한 이론을 세워 물리학 저널인 ‘피직스 리뷰 레터스’ 2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주름에 대한 이론은 주름이 어디에서 생기는지에 대한 예측에 국한돼 있었다. 세다 연구팀은 주름을 물리적인 파동으로 보고 주름의 크기, 모양, 구조에 대해 이론적인 해석을 ... ...
- ③ 복제 배아에서 얻은 줄기세포 만능일까과학동아 l200303
- 곤란하다”고 말한다. 한 예로 미국의 어드벤스드 셀 테크놀로지(ACT)사는 2000년 4월 28일자 ‘사이언스’에서 연구팀이 복제한 소 6마리의 경우 텔로미어가 오히려 길어졌으며, 겉으로 보기에도 더 젊어보인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또 당시 연구를 주도한 로버트 란자 박사는 한 인터뷰에서 “이번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