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맑음
밝음
투명도
광휘
명료
명석
순수
뉴스
"
투명
"(으)로 총 1,575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인진드기’ 전멸시키는 물질 드디어 발견
2014.12.18
방제 효과를 조사했다. 그 결과 살인진드기가 전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기가 작고
투명
해서 눈에 잘 띄지 않는 집먼지진드기는 이 추출물에 노출되자 몸이 검게 변하면서 죽었다. 기존 화학 약품에 비해서는 방제 효과가 200배 이상 뛰어났다. 전북대 제공 이 교수는 “10년 전부터 ... ...
[기자의 눈] ‘체면’과 과학 발전을 맞바꾼 대한민국
2014.12.16
볼 수 있다면, 이만큼 좋은 기회도 없다. 하지만 이번 예산 백지화로 NASA와의 협력은 불
투명
해졌다. 달 탐사선을 직접 개발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당장 내년부터 2017년 달 궤도선 시험발사를 목표로 1단계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었다. 예산 전액 취소 이후 항우연은 내후년에 예산이 회복되면 ... ...
신기하네~ 열 전달하는 플라스틱
2014.12.07
세라믹 재료를 추가로 넣는 방식을 써 왔다. 이 방식으로는 무게와 가격이 올라가고
투명
하게 만들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열에너지가 분자진동을 통해 전달된다는 점에 초점을 맞췄다. ‘폴리아크릴산(PAA)’이라는 긴 고분자 사슬과 ‘폴리아크릴로일 피레리딘(PAP)’이라는 짧은 ... ...
한국판 스미스소니언박물관, 민자연사연구소
2014.12.04
탄산칼슘으로 이뤄진 같은 방해석이라도 이 소장이 모은 방해석이 결정 모양이 더 크고
투명
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럼에도 그는 ‘기증’이라는 말을 꺼내는 데는 조심스러운 눈빛이었다. “지금까지 모은 걸 팔아서 큰돈을 벌겠다는 생각은 조금도 없어요. 하지만 아무 데나 쉽게 기증하고 ... ...
생의 진정한 목표는 꿈과 현실의 융합
동아사이언스
l
2014.12.02
자라나기 시작했다. “하지만 결국 미대에 가지 못했어요. 경제적인 문제도 있었고, 불
투명
한 미래를 걱정한 부모님의 반대도 컸죠. 교사가 되라는 권유도 있었지만 전 생각이 달랐어요. 교사나 의사는 특별한 사명감을 가진 사람이 해야 한다고 생각했거든요. 그 때 마침 학교에서 적성검사를 ... ...
커피, 잔 색깔에 따라 맛 달라진다…‘쓴맛 줄이려면?’
동아닷컴
l
2014.11.28
실험 대상자들은 파란색 컵에 있는 커피가 가장 달콤하다고 평가했다. 반면 흰색 잔과
투명
잔에 커피를 마셨을 경우 커피의 강한 향과 맛을 더 느낄 수 있었으며, 특히 흰색 잔에 담긴 커피에서 쓴맛을 가장 많이 느꼈다고 응답했다. 이 같은 이유는 우리의 뇌가 인식하고 있는 맛과 색깔의 연관성 ... ...
‘로체스터
투명
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하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이 때문에 아직까지 메타물질을 활용한 진정한
투명
망토는 나오지 않았다. 최 연구원은 “로체스터 망토는 메타물질을 대신하기 위한 여러 시도 중 하나”라면서 “환자의 수술 부위를 가리는 의사의 손이나 수술 도구를 안 보이게 만드는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 ...
흑린(黑燐), 차세대 트랜지스터 주인공 될까
2014.11.17
두루마리 노트북, 차창에 들어 있는
투명
내비게이션…. 다양한 전자제품을 만들려면
투명
하면서도 휘어지는 성능을 가진 반도체가 필요하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기존 실리콘 소재를 대신해 차세대 반도체로 쓸 수 있는 소재를 찾는 데 성공했다. KIST 연구팀이 개발한 흑린 트랜지스터의 모습 ... ...
국가 R&D 혁신 통해 사업화 해법 찾는다
2014.11.14
과제를 늘려 달라” “목적에 맞게 평가 기준을 다양화하라” “연구 과제 선정에 대한
투명
성을 높여 달라” 등의 요청에 대해 미래부 관계자는 적극 수용 방침을 내비쳤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국가 R&D 예산이 18조 원에 달하지만 성과가 부족한 현실에서 지금이야말로 R&D 혁신을 위한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유지했다. - 성균관대 제공 그래핀은 탄소를 벌집 모양으로 평면에 배열한 2차원 구조로
투명
하면서도 전기가 잘 통하는 특성이 있어 미래 신소재로 꼽힌다. 안종렬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지금까지 2차원 구조로만 제작이 가능했던 그래핀을 3차원 입체구조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고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