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맑음
밝음
투명도
광휘
명료
명석
순수
뉴스
"
투명
"(으)로 총 1,575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전지에
투명
물질 코팅했더니 효율 2배 ↑
2015.02.02
그동안 이
투명
물질은 박막구조를 코팅하는 데 이용돼 왔다. 김 교수는 “안경렌즈를
투명
한 소재로 코팅하는 것처럼 나노선 겉에 빛을 굴절시킬 수 있는 균일한 층을 하나 더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노선 태양전지 위에 질화규소 층을 코팅한 모습(왼쪽). 질화규소 층을 입힌 나노선 ... ...
대전 연구단지 새 랜드마크 ‘사이언스컴플랙스’ 출발 전부터 시끌
2015.01.27
한밭수목원과 대전시립미술관을 연결하기로 했다. 그러나 미래부의 투자금 지원이 불
투명
해지면서 사이언스 컴플렉스를 둘러싼 잡음도 커지고 있다. 미래부와 대전시는 협약을 유지할 예정이지만 투자 규모가 축소될 경우 컴플렉스 규모 축소도 고려하고 있어 연구단지 및 대전시 관계자들의 ...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운석이 알려주는 지구의 비밀
2015.01.25
학설에 새로운 근거를 제공했다. 그 밖에도 각국 연구진은 핵의 표면이 얼음과 함께 불
투명
한 유기물에 둘러싸여 있다는 점과 혜성의 꼬리가 주로 오리 모양의 목 부위에서 태양에너지에 의해 얼음이 승화돼 발생한다는 사실 등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알아냈다. ... ...
비싼 인듐 대신 값싼 은나노선 썼더니 대박!
2015.01.21
만들었다. 이 방법을 이용해 만든 은나노선 용액을 스프레이로 기판 위에 뿌리면 손쉽게
투명
전극을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산 단가도 기존 은나노선보다 10배가량 낮출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은나노선 전극을 실험한 결과 인듐 전극보다 태양빛을 받아 전기를 만드는 효율이 30%나 높았다. 생산 ... ...
“북핵 무력화할 EMP탄 개발”… 예산조달 방안은 빠져
동아일보
l
2015.01.20
대북제재와 상충되지 않아” - 광복 70돌 맞아 ‘남북 이벤트’ 추진… 北 호응할지 불
투명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 ...
바오밥나무와 사랑에 빠진 식물학자
2015.01.18
4월 20일 처음으로 로켓 벨트를 이용한 비행에 성공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해리포터의
투명
망토는 메타물질을, 타임머신은 웜홀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윤출판 제공 ◆우연의 과학 (다케우치 케이 著, 윤출판 刊) “왜 하필 나한테 이런 일이….” 예상치 못했던 사고를 당한 사람은 ... ...
전자담배는 피워도 괜찮을까
2015.01.11
8일 보도했다. 공동 성명서에는 전자담배에 들어간 화학물질과 니코틴 함량을
투명
화하기 위해 전자담배 등록제를 실시해야 한다는 내용과 주정부와 연방정부가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조치 등이 포함됐다. 전자담배는 기존 담배의 해로운 물질 없이 오직 니코틴만 흡입할 수 있게 만든 ... ...
[Happy New Year! 을미년] ‘푸른 양’ 정말 있을까
2015.01.01
투명
하다. 공작새의 깃털에는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지름에 수백 nm 길이의
투명
한 단백질이 층층이 쌓여 있는데 여기에서 빛의 산란이 일어난다. 태양빛이 총천연색으로 분리된 뒤 청색만 외부로 반사되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화려한 청색으로 보이게 된다. 호주 연구팀이 주도하고 ... ...
[신문과 놀자!/고희정 작가의 과학 돋보기]나뭇가지에 핀 하얀 ‘얼음꽃’
동아일보
l
2014.12.24
것으로, 지표면보다 높은 나무에서 발생하는 상고대와 구분합니다. 상고대는 백색
투명
의 부서지기 쉬운 얼음으로, 바람이 약한 맑은 밤에서 이른 새벽 사이에 나무나 물체의 바람을 받는 쪽에 생깁니다. ○ 빙판길에 소금을 뿌리는 이유 눈이 올 때는 좋은데 일단 쌓여서 얼면 빙판길이 걱정됩니다.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우리가 미국보다 앞서 있다”고 말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전기활성폴리머
투명
소자를 이용해 개발한 ‘촉각센서’. 휘거나 접을 수 있고 누르는 힘의 크기도 감지할 수 있어 다양한 전자기기에 응용할 수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