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3화] 땅 속에 있는 보물을 발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있는 고체 상태의 물질이지요. 땅에는 산소와 규소, 알루미늄, 철 등 8가지의 원소가 전체의 98% 차지하고 있어요. 이 원소들이 마그마나 땅 사이에 흐르는 뜨거운 물에 녹아 있다가 식는 과정에서 규칙적인 형태로 뭉쳐져 결정이 만들어지지요. 그 중 다이아몬드와 루비 같은 일부 광물은 매우 적은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재직 중이다. 원자력시설 해체핵심기술 개발과 산업체 참여 해체 실용화 기술 개발 전체를 총괄하고 있다.김선병_sbkim@kaeri.re.kr국원자력연구원 해체기술연구부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화학제에 의한부식산화막 용해 기작의 모델링 연구와 국내 원전의 일차계통 제염에 적용될 수 있는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않고서는 제대로 요약할 수 없기 때문에 읽고 들은 지식을 몇 줄로 요약해 보는 것이 전체 지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기억된 지식을 요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이 저장된 신경세포를 동원해 서로 비교해야 합니다. 이 비교를 통해 더 중요한 지식이 선택되고, 뇌 신경세포는 더욱더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것이다. 대기광을 지상에서 보려면 하늘이 맑고 달빛이 없어야 하는 데다, 7%라는 수치는 전체 지구에서 계산한 값이기 때문에 특정 장소에 밝은 밤이 나타날 확률은 1년에 단 하루 정도로 낮아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밝은 밤이 지금보다 자주 기록된 건, 과거엔 인공 조명이 없었고 따라서 달이 ...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선택론으로 설명했다. 갈등이 생길 때마다 유혈이 낭자한 전면전이 매번 발발한다면, 종 전체의 생존이 위협받기 때문이라는 것이다.위대한 과학적 발견을 이루고자 홀로 런던으로 이사한 진화생물학 초심자 조지 프라이스는 이 설명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보기엔 화려하지만, 형편없이 비효율적인 ... ...
- [Culture] 행복과 성공, 모두 얻는 법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명상을 하고, 명상을 하기 전후를 비교해봤다. 참석자 중 32명의 뇌파를 측정했더니, 전체적인 뇌 기능 정도(BQ지수)와 육체적, 정신적으로 긴장했을 때 이겨낼 수 있는 정도(오른쪽 뇌의 항스트레스지수)가 높아져 있었다. 걱정과 번뇌가 사라지니 행복감이 증가하고 뇌 기능도 향상됐다는 증거다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한시’에서 두드러진다. 한시 중에서도 당나라 이후에 만들어진 ‘근체시’를 보면 전체 4개의 행 중 짝수 번째 행의 끝에 비슷한 발음의 글자를 배치해 리듬을 만든 것을 볼 수 있다. 랩 가사를 쓸 때 반드시 라임을 맞춰야 하는 건 아니지만, 근체시는 반드시 이 형식을 지켜야 해서 랩보다 더 ... ...
- Part 1. 한국인의 조상을 찾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손상이 된 고대인의 게놈을 전부 기계로 찾을 수 없으니 이번에 연구팀이 이용한 게놈은 전체의 일부일 뿐입니다. 악마문 동굴인이 울치족과 같은 민족이며, 한국인의 조상 격이라는 사실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통계적 기법으로 유사도를 찾아냅니다.연구팀은 민족 간 유사도를 알아내기 위해 ... ...
- [과학뉴스] 크리스퍼, 표적 외 다른 유전자에 변형 일으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세포병리학과 스티븐 창 교수는 “연구자들은 표적을 벗어난 곳의 돌연변이를 찾기 위해 전체 유전자를 확인하지 않지만, 단일 뉴클레오티드 돌연변이 하나가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doi:10.1038/nmeth.429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개는 후각수용체의 개수도 사람(약 1000만 개)에 비해 100배나 많은 약 10억 개였다.유전체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과학자들은 후각수용체를 만드는 유전자에 대한 연구도 했다. 이 역시 사람 코를 좌절시키기에 충분했다. 후각수용체를 만드는 유전자는 사람과 쥐가 약 1000여 개로 서로 비슷했다. 하지만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