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길이가 짧은 고주파수 에너지가 방출된다. 이 때문에 고주파수 신호에는 단층면의 전체적인 움직임과 관련된 모든 에너지가 포함되지 않고, 고주파수 신호를 측정할 경우 지진이 방출한 에너지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이를 ‘지진 규모의 포화’라 하며, 국지지진 규모에서는 규모 6.5 정도에서 ...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재산과 책, 연구노트, 광물 수집품들이 미국에 기증됐다. 이 금액은 당시 미 연방정부 전체 예산의 66분의 1에 해당할 만큼 엄청난 규모였다. 30년 뒤 미국이 러시아로부터 사들인 알래스카 주가 720만 달러 정도였으니 스미스슨이 남긴 유산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그의 유산은 미국에게 특별한 ... ...
- [과학뉴스] 스스로 고장 수리하는 ‘모듈러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쉽게 교체하는 ‘모듈러 로봇’이다. 모듈러 로봇은 작은 단위(모듈)가 여러 개 결합해 전체를 이루는 방식으로 만든 로봇이다. 마르코 도리고 벨기에 브뤼셀자유대 인공지능랩(IRIDIA) 박사와 프란체스코 몬다다 스위스 로잔 공대 과학기술산업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지구가 2개 들어갈 크기의 영역 안에서 제트기류가 초속 100m로 빠르게 회전하는데, 전체적으로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면서 일부 작은 소용돌이는 시계 방향으로 돈다. 지구의 허리케인은 보통 일주일 정도 지속되지만, 이 육각형 제트류 구름은 수십 년 동안 지속됐다. 앞으로 수 세기 동안 지속될 ... ...
- [Origin] 남자 청소년 열에 아홉은 근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유전자는 대부분 고도 근시 가족을 연구해 알아낸 특정 유전자”라며 “이런 유전자들을 전체적으로 조종하는 유전자가 따로 있을 것이라는 정도만 추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책, 스마트폰이 원인일까?최근에는 근시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병한다는 주장이 크게 힘을 얻고 있다. 유전적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물어보는 것일 수 있다”며 “최근에 태풍으로 산호초가 많이 망가졌는데, 산호초는 전체 바다 면적의 0.5%를 차지하고 있지만 적어도 90% 이상의 해양생물종들이 산호초와 연계돼 서식하고 있을 정도로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지금도 충분히 아름다운데, 태풍 피해를 입기 전에는 이보다 더 ... ...
- Part 3. 미세 플라스틱 사람에게 돌아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물고기들은 물론 깊은 바다에 사는 갯지렁이, 무척추동물인 플랑크톤까지 해양 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쳐요. 그리고 결국 사람에게 다시 되돌아오게 되지요. 미세 플라스틱이 먹이사슬에 따라 상위 포식자로 쌓이는 ‘생물농축확대(biomagnification)’가 일어나거든요.예를 들어 볼게요. 아주 작은 ...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태아 때 발달이 덜 된 망울 형태로 존재한다. 태어날 때 이 망울은 머리에 약 10만 개, 몸 전체에 300만~500만 개 정도 분포한다. 망울이 몸 안쪽으로 길게 자라 모유두가 생기면, 이것이 진피와 연결된다. 모유두는 털의 지지대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영양분도 공급한다. 이 영양분을 이용해 모간이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불구하고 인간은 이 행성에서는 몹시 중요한 존재다. 46억 년에 달하는 역사에서 지구 전체를 바꾼 최초의 생물이다. 이런 관점을 통해 우리 종, 바로 인류가 하는 이상한 일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는 “우리는 이야기의 아주 끝에 등장하지만, 지구를 바꿀 정도의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 ...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데데킨트에게서 나왔다. 아이디어의 이름은 ‘데데킨트의 절단’. 그는 ‘유리수 전체를 크기 순서대로 나열한 수직선’을 자르는 사고 실험을 했다. 잘린 수직선 두 개 가운데 작은 수가 있는 쪽을 집합 A, 큰 수가 있는 쪽을 집합 B라고 하면 아래와 같이 네 가지 경우의 수를 생각할 수 있다. 절단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