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가 비활성화 된 X염색체를 감싸고 있다.꽁꽁 묶인 X염색체의 비밀염색체의 일부가 아닌 전체가, 마치 전등불이 꺼지듯 완전히 비활성화되는 이런 현상은 지금도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입니다. X염색체가 비활성화되는 과정에는 여러 가지 인자들이 관여하지만 특히 ‘Xist’라는 긴 비암호화 RNA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적을 수 있다.협력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집단은 협력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집단보다 전체적으로 더 많은 자식을 만든다. 곧, 착한 사람들이 많은 집단은 악한 사람들이 많은 집단을 이긴다. 바로 우변의 첫 번째 항, 즉 집단 수준에서 이뤄지는 선택이다. 그러나, 언제나 문제는 집단 내의 개체 ... ...
- 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지뢰찾기 게임과 닮았다. 유전적인 요인 또는 살아온 환경의 영향을 받을 때도 있지만, 전체 암의 3분의 2는 정상적인 세포분열 과정에서 무작위로 발병한다. 살아있는 한 세포분열을 그만둘 수 없는 우리가, 그렇다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암(癌) 지독한 랜덤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쪽이 일방적으로 피해를 입는 작용이다. 이로 인해 약한 클론이 멸종하고 강한 클론이 전체 암 군집에서 주도권을 차지한다. 클론들은 호르몬 또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거나, 주변 환경을 바꿔 다른 클론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위 그림). 이렇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기에 단일클론만 떼어 ... ...
- Part 1. 물 진짜 부족한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물이 풍부하지만, 그 중 97%는 바닷물이에요. 사람이 마시고 쓸 수 있는 물인 담수는 지구 전체의 2.5%밖에 되지 않아요. 그 중에서도 대부분은 빙하나 만년설, 또는 땅 속에 있어서 실제로 이용 가능한 물의 양은 0.01%밖에 되지 않지요.더구나 물은 지역별로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지 않아요. 나라마다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모르겠습니다.◀ 노란 점액이 묻어 나온 개똥. 위쪽부터 세상의 빛을 본 순서다. 전체 길이를 보면 똥이 직장뿐만 아니라 결장에도 보관됨을 알 수 있다.똥이 항문으로 빼꼼 나온 뒤 땅바닥에 닿을 때!연구를 이끈 미국 조지아공대 기계공학과 데이비드 후 교수는 보도자료에서 “공부할 때를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한다. 인성검사를 보듯 설문조사 형식으로 측정하며, 국제최면학회에 따르면 전체 인구에서 10% 정도의 사람이 최면 감수성이 높다고 보고돼 있다. “나는 최면 감수성이 낮아서 최면에 절대 걸릴 수 없느냐”고 물으니 “본인의 이성보다 감정이 두드러지는 순간이라면 가능하다”라는 답이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정보사용량에 제약을 받지 않아요. 따라서 위험한 사람들이죠. 마음만 먹으면 은하계 전체에 해를 끼칠 수도 있거든요, 물론 그러려면 오랜 시간 동안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겠지만.”노마는 제니가 공기총에서 몸을 떼고 두 사람의 대화에 집중하는 것을 알아챘다. 쿄시로는 모자를 고쳐 쓴 다음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3개인 미니 도블을 생각해 보자.미니 도블 게임이 되려면 카드가 몇 장 있어야 할까? 카드 전체 그림의 종류를 6가지로 하면 4장으로 게임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카드의 수가 많을수록 게임이 더 재미있어지는 걸 생각하면 최대한 카드의 수를 늘려야 한다. 그림의 종류를 하나 더 늘려 7가지로 정하면 ... ...
- [과학뉴스] 스마트폰 지문 인식, 쉽게 뚫린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메몬 교수팀이 취약점을 찾아낸 것이다. 스마트폰의 지문 기반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의 전체 지문을 캡처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센서를 이용해 지문의 부분들을 캡처한 뒤 하나로 합쳐서 저장한다. 연구팀은 이 점에 주목했다. 8200개의 부분 지문들을 분석한 뒤, 공통부분이 많은 지문을 추출해 어떤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