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적인 미래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달려야 한다. 웅성붙임성과 이를 회복하는 특성은 웅성붙임성 회복유전자(Rf)에 의해서
조절
된다. 연구진은 이런 웅성붙임성 회복유전자 Rf에 대한 유전자 진단법을 개발했고 세계 최초로 Rfp라는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했다.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유전자 조작 식품에 비해 효율이 높은 분자 ... ...
지능형자동차의 철새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모형 자동차를 여러 대 만들어 두었다. 이 자동차로 앞차의 속도에 따라 자신의 속도를
조절
하고 장애물을 알아서 피하는 실험이 한창 진행 중이다. 앞으로는 자동차의 실제 주행 속도에 가깝게 속도를 높여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이런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은 굉장히 어렵습니다. 일단 자동차의 ... ...
금속 몰아내는 고성능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공기의 압력을 높이거나 진공 상태로 만들어 흡기다기관(엔진에 공기를 공급하고 양을
조절
하는 부품)을 시험하는 장비도 있다. 그 외에도 압축력이나 전단력, 횡력 등 다양한 힘에 저항하는 성질을 시험하는 장비가 마련돼 있다.이런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고성능 플라스틱이 ‘듀레탄’이 다. ... ...
비닐에서 LCD까지, 미세 가공을 부탁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비닐이 얇아져 적당하게 공기가 통과한다. 홈의 두께와 개수에 따라 공기투과율을
조절
할 수 있어 농산물을 신선하게 오래 저장할 수 있다.[➊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펨토초레이저. 수백 nm에서 수 μm 크기의 매우 정밀한 가공을 할 수 있다. ➋ 노영철 연구실장(왼쪽)과 연구원이 레이저 가공 과정을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성적 분포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아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생물에서 이러한 난이도
조절
방법으로 가장 선호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함정 보기’를 만드는 것이다. 함정 보기는 대충 읽으면 그럴 듯해 보여 그냥 지나치기 쉽다. 그러니 문제의 보기를 꼼꼼히 읽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 ...
PART 2. 도시 홍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경기 수원시와 소방방재청은 수원의 한 마을에서 빗물 저류 시설의 크기에 따른 홍수
조절
효과를 실험했다. 3000m3의 커다란 저류조 하나를 만들자 기존 하수처리 시설보다 첨두유출량(물이 가장 많이 흘러갈 때의 양)이 15.5% 줄었다. 500m3의 저류조 6개를 나눠 설치하자 첨두유출량이 28% 줄었다.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특정한 방향에서 들리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각 스피커에서 나는 소리를 컴퓨터로
조절
해 오른쪽과 왼쪽 귀에 각각 다른 소리가 들리도록 만들었다. 이 스피커가 있으면 현재 5.1채널 스피커처럼 각각의 스피커를 전후좌우에 설치할 필요 없이 정면에 하나만 설치하면 된다. 마골리스 기술감독은 ... ...
내 얼굴에 꼭 맞는 안경 찾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얼굴이 길어 보이는 효과를 줄 수 있다.안경테의 연결부 형태로도 얼굴의 비율을
조절
할 수 있다. 안경을 쓰면 코는 안경테 연결부 아래로 보이는 길이에 따라 길거나 짧아 보이기 때문이다. 코를 길게 만들수록 얼굴은 갸름하게 보인다. 코를 길게 만들고 싶다면 연결부가 높은 안경을 택해 코가 될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색채를 측정해 색상과 명도, 채도 분포를 정리했다. 작업 현장은 인위적으로 조명을
조절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사진으로 찍어 조사했다. 설문조사로 작업환경의 색채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사항도 조사했다.그 결과 작업 현장은 회색과 같은 무채색이 60% 이상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작업자들은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를 하면서 박사학위를 받았다.그는 배아가 발달하는 과정을
조절
하는 메신저RNA(mRNA)를 분리하는 연구를 했는데 당시 생명과학 수준으로는 매우 어려운 과제였다. 무엇보다도 분석하는 데 쓸 시료를 충분히 얻을 수 없었다. 그의 고민을 듣던 동료가 그에게 생쥐의 기형암종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