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팔이 간질간질하다. 또 뭘 잘못 먹었나보다. 기자는 우유를 잘못 먹으면 두드러기가 난다. 새우나 땅콩을 먹으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사람도 있 ... 사실입니다. 앞으로 각 유산균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연구해 상황에 따라 면역을
조절
하는 ‘맞춤형 유산균’을 제작할 예정입니다 ... ...
1악장 - 바흐 이전의 침묵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때문에 마음대로
조절
할 수가 없었죠.당시 몇 안 되던 목관악기인 오보에나 바순 역시
조절
이 어렵긴 마찬가지였어요. 하지만 오보에는 구조에 큰 변동이 없어 음높이가 반음 이상 차이가 나지 않았어요. 그래서 오보에를 기준으로 음을 맞추면 어느 정도 일정한 음 높이를 만들 수 있었지요. 그래서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❷ 탄소나노튜브의 구조를 나타낸 그림.]#2 몸속에서 스스로 전기 만든다심장박동
조절
장치와 같은 의료기기를 몸에 넣은 사람은 정기적으로 커다란 불편을 겪는다. 전지의 수명이 다하면 수술로 바꿔 넣어 줘야 하는 것이다. 몸속에서 스스로 전기를 만들 수 있는 전지가 있다면 어떨까.황당맨은 ... ...
두 배나 먹고 있다? 두 배나 먹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않은 식품에도 작은 양이지만 나트륨은 들어 있답니다.나트륨은 우리 몸의 수분량을
조절
하는 중요한 영양소예요. 일상적인 식생활을 하는 건강한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나트륨을 먹게 되어 부족할 염려가 없지요. 그러나 많이 먹게 되면 혈압이 오르는 등 건강에 좋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이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분수의 급수라인에 연결된 노즐을 통해 물이 뿜어지는데, 노즐의 지름에 따라 압력이
조절
되고 노즐과 지면의 각도로 분수의 높이가 결정된다. 이것이 조화를 이루면 물줄기들은 아름다운 포물선을 그리며 사람들에게 시원함과 황홀함을 선사한다. 이번 기회에 우리 주변에 숨 쉬고 있는 포물선을 ... ...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기울어 있다. 손가락이 각 키에 일정한 넓이로 닿을 수 있도록 각 열마다 키의 각도를
조절
한 것이다. 눈에 띄지 않는 부분까지 꼼꼼하게 처리한 키보드의 기술은 지금도 발전하고 있다. 최고의 한글 자판은 어떤 조합일까키보드의 영문 자판은 대부분 쿼티(QWERTY) 배열로 돼 있다. 쿼티는 키보드 ... ...
꼬꼬면에 숨어 있는 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탄력은 줄어든다. 가늘면서도 쫄깃쫄깃한 면을 만들기 위해 밀가루와 감자전분의 함량을
조절
하는 배합실험부터 다시 시작했다. 30회가 넘는 실험 끝에 최적의 조건을 찾아냈다. 그래도 기대만큼 쫄깃쫄깃한 면은 아니었다. 연구팀은 면의 수분함량을 높이고 기존 라면보다 더 구불거리게 만들어 ... ...
줄기세포 만드는 스위치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할 수 없다. 따라서 일반 세포는 분화능력을 얻지 못한다. 결국 FOXP1이 세포의 분화능력을
조절
하는 스위치인 셈이다.블렌코 교수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안전한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발표했다. 줄기세포는 손상된 조직을 효과적으로 복구하지만, 조직이 ... ...
애벌레가 나무를 내려오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동물의 이상 행동을 유발하는 가장 교묘한 방법은 호르몬
조절
이며 이 호르몬
조절
은 유전자로 조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유전자가 숙주 동물의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밝힌 최초의 연구라고 인정받고 있다. 결과는 9월 9일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단순했다.사전을 찾아 단어를 목적 언어의 단어로 바꾸고, 문법 특성을 고려해 어순을
조절
해주는 정도였다. 1954년에는 미국 조지타운대와 IBM이 공동으로 러시아어를 영어로 번역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당시에 쓰인 컴퓨터는 1952년에 출시된 ‘IBM701’, 프로그래밍은 CPU에 2진수 코드로 명령어를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