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풀로 그늘진 은신처를 만든 뒤 번데기나 애벌레를 묻는다. 자연적으로 온도와 습도를
조절
할 수 있는 방법이다.애벌레와 어른벌레는 정말 같은 종일까변태를 진행하는 곤충들을 보고 있노라면 애벌레와 어른 벌레가 완전히 분리된 두 종으로 보인다. 커서 어른이 되는 ‘애’가 ‘어른’과 이렇게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떠올리면 알파파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 실험은 임의로
조절
할 수 없다는 뇌파를 의지로
조절
할 수 있다는 결과로서 진정한 의미에서 최초의 뉴로피드백 실험이라 할 수 있다.1971년 미국 UCLA의 배리 스터먼 박사는 SMR파(뇌의 감각운동피질에서 발생하는 12~16Hz의 뇌파)를 이용한 뉴로피드백으로 ... ...
졸릴 땐 달걀을 드세요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뇌세포를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신체감각을
조절
하고 식욕과 수면을
조절
하는 호르몬인 오렉신의 방출을 촉발시켜 뇌를 깨웠다.반면 설탕은 오렉신의 분비를 차단했다. 오렉신이 부족하면 수면장애를 일으키거나 비만이 되기도 한다. 연구팀은 자고 일어났을 때 잠을 빨리 깨고 ... ...
지구 속 뚫고 달리는 진공튜브열차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타면 비행기를 탈 때처럼 열차 안팎의 기압이 달라 비행기와 마찬가지로 실내 압력을
조절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승객들이 역에 도착해 대기압 환경으로 나갔을 때 귀가 멍멍해지고 소리가 잘 안 들리거나, 귀가 아플 수 있다”고 설명했다.열차가 사고 났을 때 사람들이 공기가 거의 없는 ... ...
코끼리 코 흉내 내는 ‘탄소나노튜브 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로봇이나 생체기기의 재료로 활용될 것”이며 “전압을 바꿔 회전 방향과 속도를
조절
하는 초소형 모터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10월 14일자에 실렸다 ... ...
머리에 인공지능, 가슴엔 분자엔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의식의 백업 과정은 기괴하다. 의사가 뇌의 전기 신호를 컴퓨터에 재현하고, 세밀한
조절
이 끝나면 육체는 버려진다. 의식은 기계 두뇌와 몸속에서 생명을 이어간다. 여느 과학소설이나 영화보다 세밀한 묘사다. 더구나 인간의 신경망이나 망막 구조를 응용해 생체 컴퓨터를 구성하려는 아이디어는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등장했다. 하지만 원하는 목적지를 미리 입력받아 엘리베이터가 움직일 방향과 거리를
조절
할 수 있게 되고서야 현실화될 수 있었다. 또한 아래위에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가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두 엘리베이터를 적어도 3m 이상 떨어져 있게 만든 안전제어시스템의 공이 컸다.쌍둥이 ... ...
[과학뉴스] 결핵균 숨겨 주는 투명망토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불러오는 신호전달물질인 ‘TNF’가 더 적게 만들어졌다. 이 리포만난이 TNF의 생산을
조절
하는 마이크로 RNA에 작용해 TNF 생산을 방해한다는 사실도 추가로 밝혔다. 슐레진저 교수는 “수세기동안 결핵균은 사람을 숙주로 삼는 데 알맞게 진화했기 때문에 결핵을 고치기 힘들었다”며 “생명공학 ... ...
‘심장질환 유전자’ 예방하는 초록 샐러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최근 캐나다 맥길대 연구팀은 특히 익히지 않은 푸른 채소가 심장질환 관련 유전자를
조절
해 병을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맥길대 인간유전학부 제이미 언저트 교수팀은 강력한 심장질환 유발요인인 ‘9p21’유전자에 주목했다. 이 유전자가 있는 사람은 심장질환에 걸릴 확률이 비교적 높다 ... ...
뇌과학으로 본 버럭순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함께 발달해 청장년이 돼서야 비로소 성숙해진다. 사춘기 청소년들이 자기 감정
조절
을 잘 못하고 산만한 것도 전두엽의 기능이 미성숙하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전두엽이 퇴화된 노인의 행동과 감정적으로 행동하는 청소년의 모습은 참 많이 닮아 있다. 옛말에 ‘나이 들면 애가 된다’고 하더니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