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탐식을 증명할 수 있는 기록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고려 시대까지만 해도 문집과 어문 기록에는 음식과 관련된 언급이 거의 없었다. 보통 한문으로 쓰는 시문으로는 점잖고 고급스러운, 지식과 교양을 과시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을 적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안 교수는 “조선 ...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회로가 망가진다. 소프트웨어는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오류를 탐지한 다음 두꺼비집처럼 전류를 차단한다.로봇을 많이 조종해보지 않은 사람이 실수로 엉뚱한 위치 값을 입력하면 로봇이 다칠 수 있다. 이럴 땐 소프트웨어가 감지하고 모터 제어기를 자동으로 멈추게 한다. 관절별로 움직일 수 있는 ... ...
- 올록볼록~! 종이로 만든 동화 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덕분에 종이와 더욱 가까이 지낼 수 있었어요. 종이에 그림도 그리고, 종이로 인형과 집, 차를 만들기도 했지요. 가장 좋아하고 친한 장난감이 종이였던 거예요. 그리고 어른이 돼서도 익숙한 종이를 재료로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어요.황정아 작가의 종이 작품은 모두 ‘부조’예요. ‘부조’란 ... ...
- 알록달록 색깔 품은 세상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저녁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습이 정말 정겹네요. 만약 여러분이 이곳에 있다면 어느 집에서 함께 하고 싶은가요?중국 후난성 펑황 마을에 있는 조각루를 사진에 담았어요. 2014-2015 함단국제사진공모전(HIPA) 수상작 중 하나지요. 이 공모전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왕세자인 세이크 함단 빈 모하메드알 ... ...
- INTRO 팔방미인 수학자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아무것도 할 줄 모르기 때문이다. 내가 할 줄 아는 브릭 놀이라고는 손바닥만 한 집짓기가 전부다.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브릭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유행처럼 번지더니 아이들이 브릭으로 별 걸 다 만든다. 뇌섹남이고픈 남자, 대세남인 내가 유행에 뒤쳐질 수 없다. 브릭의 매력을 알아내고 말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들어 보자. 우리 집 근처에서 짝을 애타게 찾고 있는 매미는 과연 누굴까? ※ 편집자 주_우리나라에서 살고 있는 다양한 매미 사진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선주 선생님이 운영하는 블로그(blog.naver.com/rlatjswn875)에 가 보세요. 각 매미의 울음소리는 윤기상 박사님의 블로그(blog.naver.com/cicadasou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된 장메이와 함께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열릴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하기 위해 집으로 돌아온다.[이진수★ 이진법을 써서 표현한 수. 우리가 주로 쓰는 십진법과 달리 이진법은 왼쪽 자리로 갈수록 자리가 나타내는 값이 2배가 된다. 첫째 자리는 1(=20), 둘째 자리는 2(=21), 셋째 자리는 4(=22)의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남자아이가 좋아하는 로봇과 여자아이가 좋아하는 인형의 집을 모두 만들 수 있는 도구를 떠올렸다. 뿐만 아니라 우리 세상의 축소판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시리즈 장난감을 기획했다. 그 결과, 2×4 브릭 6개만 있으면 1억 298만 1500가지 새로운 조합을 만들 수 있는 장난감이 ... ...
-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교수는 “별도의 전파 수신 장비가 없는 사람의 숫자도 셀 수 있는 게 장점”이라며 “집에 있는 사람 수에 따라 난방 세기를 조절하는 스마트 주택 기술이나, 재난 발생 시 구조 활동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거기에 따라 해당 조종사가 훈련을 한다. 만약 해당 조종사들이 훈련한 모든 데이터를 수집해 컴퓨터를 학습시키면 최적의 형태로 훈련돼 인간을 상대로 이기는 컴퓨터가 될 수도 있다. 어찌 보면 원자력발전처럼 양면성을 띄는 기술인 셈이다. 좋은 곳에 쓰면 사람들의 실생활에 많은 도움을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