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드론에 예쁜 옷을 입히고 불빛을 내도록 했죠. 거실을 고요하게 밝히던 전등이
집
밖으로 뛰쳐 나와 신이 난 듯 하늘을 날며 춤을 추는 모습처럼 보입니다. 동화 속에서나 일어나는 마법과 같은 일이죠. 공 박사는 “먼 미래에는 드론이 인공지능과 결합해 완전한 자율 비행은 물론이고, 사람과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세운다. 만약 지구와 교신해 자신이 살아있다는 사실을 알리지 못한다면 와트니가
집
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은 딱 하나다. 그건 바로 4년 뒤에 ‘아레스4 탐사대’가 화성에 도착할 때까지 살아있는 것이다.화성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목숨을 잃을 수 있다. 다행히 산소 발생기가 이산화탄소를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아래층에는 깨끗한 물만 남지요. 이러한 과정을 ‘여과’라고 해요.”여과 과정은 우리
집
에 있는 정수기에서 사용하는 기본 원리예요. 걸러진 물은 생수처럼 마셔도 될 정도로 깨끗해 보였지요. 하지만 이 물은 아직 소독을 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함부로 마실 수는 없었답니다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최고 시속 약 320km으로 최대 805km 정도까지 비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의
집
앞에서 제주도 주상절리 앞까지 약 1시간 반 만에 갈 수 있는 셈이다. 테라퓨지아 연구팀은 “2023~2030년 무렵에는 길이나 하늘에서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바퀴 없이 날아가는 보드한편 영화에서 마티가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삼각형 땅의 3면 중 2면이 다른
집
에 가로막혀 있는 ‘눈먼 벽’이기 때문에 다른
집
에 비해 덥고 채광이나 환기도 잘 되지 않았다. 특히 해질녘에 낮은 서향 빛을 받아 더워지는 서쪽 모퉁이는 건축가에게 가장 어려운 숙제였다.밀라 주택은 바로 그런 곳에 세워졌다. 건축가 가우디는 새로운 도시의 ... ...
꿀벌이 새
집
을 찾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새로운
집
으로 이사를 하려면 따져 볼 것들이 많아요. 역에서 가까운지, 물은 잘 나오는지 꼼꼼히 살펴보고 가족 구성원 모두가 맘에 드는 곳을 선택하지요. ... 여왕벌의 중재를 통해 벌들은 최종적으로 한 곳을 선택하게 되고, 결국 여왕벌 무리는 안전하게 새
집
으로 이사를 한답니다 ... ...
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우리
집
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공간은 바로 화장실이다. 두루마리 휴지부터 바닥에 깔린 타일까지, 모든 것이 풍부한영감을 주는 곳이다. 믿기 어렵겠지만 나는 화장실에서 수학을 연구하는 수학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이승진 박사가 기자를
집
근처에 데려다 줬는데 차안에서도 지니어스 이야기를 했다.
집
근처의 지하철역에 내려서야 기자의 길고긴 금요일 밤이 끝이 났다. ... ...
[수학뉴스] 개미 떼를 이끄는 리더 개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합쳐 먹이를 옮기는 것에 대한 수학모형을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개미가 약 20마리일 때
집
까지 먹이를 옮기는 속도가 가장 빠르고 시간도 가장 적게 걸린다는 사실을 알아 냈습니다. 1~20마리 사이에서는 개미 수가 많아질수록 먹이를 옮기는 능률이 점점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개미가 20마리보다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는 100만 분의 1m)보다도 훨씬 얇은 탄산칼슘 층 수천 장이 겹쳐 있는 형태예요.
집
을 지을 때 벽돌 사이의 경계가 벽돌 중간에 오도록 엇갈리게 쌓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탄산칼슘 층이 쌓여 있지요. 그리고 층과 층 사이의 공간은 단백질로 메워져 있어 단단하면서도 깨지지 않는답니다.연구팀은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