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북"(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만메가톤의 에너지 태풍의 생성과 소멸과학동아 l1987년 09호
- 중심이 통과하기 1~2일 전에 내리는 전선강우가 있다. 태풍이 북상할 때는 그 동쪽에 북태평양 고기압이 있으므로 그 사이에는 기류의 수렴선이 형성된다. 이 선을 따라서 강한 상승기류가 일어난다. 여기에 산악에 의한 상승운동까지 겹치면 그 지역에는 호우성강우가 있게된다.수렴선의 강우역은 ... ...
- Ⅴ바다의 고동-밀물ㆍ썰물과학동아 l1987년 08호
- 물이 해협 북쪽에 옮겨져 있음을 알수있다.그러나 단순히 빨강과 파란 수괴의 경계선이 북쪽으로 움직이는것이 아니고 커다란 소용돌이를 동반하면서 두종류의 물이 차지한 영역이 복잡하게 섞이는 모양이된다. (이 수치계산에서 볼수있는것은 대규모의 소용돌이를 포함한 흐름으로 잔잔한 ... ...
- 매미, 그길고도 짧은 생애과학동아 l1987년 07호
- 사람으로 치면 '리프 밴 윙클' (워싱턴 어빙의 스케치북에 나오는 인물·노인이 될 때까지 잠을 잤다)이라고할까. 미국의 '롱 아일런드'에서 '일이노이즈 ... 될 자격을 갖춘다. 그러므로 요번에 찾아올 매미나이는 못되어도 4살 이상이다. 그래도 북미산 매미 보다는 고난기간이 짧다고 할까 ... ...
- 바닷속 신비 산호초과학동아 l1987년 07호
- 몰려 수영이 금지된 해수욕장까지 생겼다. 도깨비불가사리의 알은 흑조를타고 북상하여 큐슈(九州) 시코쿠(四國) 그리고 미야케섬에까지 큰 피해를 냈다. 그러나 지금은 바다 속에 들어가보면 볼수는 있으나 그전처럼 대량으로 볼수는 없게 되었다. 이런것도 역시 자연의 섭리일까 ...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과학동아 l1987년 06호
- 함경남북도, 황해도 및 강원도 고준지대(38˚이북)와 금강산에서 설악산, 월악산을 거쳐 경북 주흘산, 울진 통고산에 이르기까지 태백산맥줄기의 표고 1천m 이상의 고준지대에 서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후의 남획으로 격감되어 수십마리가 생존하고 있을 뿐이다. 산양은 대개 절벽으로 둘러싸인 ... ...
- 대표적인 봄꽃, 개나리와 진달래과학동아 l1987년 04호
- 피고 있으나, 함경도지역에서는 개나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이며, 진달래가 특히 북쪽의 비탈면에 많이 피는데 비해 개나리는 양지바른 곳에 많이 피어난다 ... ...
- 인공자장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과학동아 l1987년 04호
- 혐기성에 가까운 균에 있어서는 살수 없는 환경으로 향하는 것이다. 결국 북반구에서는 북쪽지향의 것만이 살아갈 수 있었다는 결론이 나온다. 사람 주변의 인공자장지금까지는 주로 자연의 자장에 관한 것을 살펴왔다. 좀 더 강한 인공자장에서는 생물이 어떤 행동을 나타낼까. 라디오나 텔리비전, ... ...
- 한국의 봄꽃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자라는 섬노루귀는 반들반들하고 두꺼운 잎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깽깽이풀은 북방에서 자라는 식물로서 중부지방에서도 볼 수 있었던 식물이지만 뿌리를 한방에서 황련이라고 불러써온 탓으로 사라져가는 종류의 하나이다. 반월공단 옆에서 자라던 깽깽이풀의 포기에서 채취한 종자가 자란 것이 ... ...
- 과학영재 6백명의 교육현장 전국의 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1987년 04호
- 대전과학고에 서울·충남북, 경남과학고에 부산·경남북, 전남과학고에 전남북·제주출신이 응시토록 돼있는데 서울·대구에 과학고신설을 검토중이다).86학년도의 결과로 미루어보면 앞으로도 '과학고2학년에서 과기대조기진학' 추세가 굳어질 전망이다.한편, 특차전형의 과기대입시에서 ... ...
- 지상최대의 건축물 만리장성과학동아 l1987년 03호
- '역사지리학'이라는 분야가 있다. 이것은 황하 중류유역의 황토 침식상황이나 서북사막지대의 확대와 처원, 농지 침식상황에서의 역사적 추이를 장성의 위치와의 관계에서 밝혀 보려는 것이다.앞에서 설명한대로 장성은 농경지대와 유목민이 사는 초원지대의 경계 위에 세워졌다. 그렇다면 현재의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