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ook
책
드럼
서적
Drum
하지
하계
d라이브러리
"
북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태계의 미묘한 취약지구 사막이 늘어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밀림지대였다.미국면적 4배가 사막화 위기에건조기가 닥친 것은 기원전 3천~2천년이다.
북
반구의 중위도 지방에서 기온이 올라가고 강수량이 적어지기 시작해 메소포타미아 평야가 사막으로 변했다. 예수가 탄생한 무렵에는 사하라 지방도 사막이 되었다. 이처럼 기후가 건조해져 생긴 사막을 ... ...
기상정보시스템 주관예보체제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것은 아니고가령 태풍의 경우는 남쪽자료가, 주간 예보(1주일 후의 예보)를 위해서는
북
반구 전체의 자료가 필요하기도 한다. 따라서 일정시각 관측자료(지상관측은 하루4회, 고층관측은 하루2회)는 세계기상통신망을 통해 전세계 각 곳에서 상호교환되고 있다. □분석각종의 통신수단을 거쳐 ... ...
세계최초-영국에서 내년부터 산성비억제 위한 탈 설파공장건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대기의 수증기에 섞여 설파애시드, 이른바 산성비를 만들게된다. 산성비의 피해는
북
서 유럽 미국등지에서 특히 심하다. 영국 정부는 더이상 산성비를 방치했다가는 파멸적인 환경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하고 앞으로 10년동안 매년 14%씩 설파방출량을 줄이기로 했다. 이같은 방침에따라 ... ...
쌍동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태어나며, 우리나라와 일본 등 동남아국가에서는 일란성이 다발하고 유럽과
북
미등지에서는 이란성일 경우가 더 많다. 일란성쌍동이의 분리는 대개 임신초기에 이루어지는데 분리가 늦어지거나 불완전하면 몸의 일부가 붙은 상태로 태어난다. 이 불행한 경우의 쌍동이를 일컬어 샴(태국 ... ...
난대림에서 고산식물까지 식물생태계의 특징과 의문점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대개의 경우 없다고 한다.사실상 기후대로 본다면 남쪽에 위치한 한라산 보다는
북
쪽의 설악산이나 지리산에서 더욱 고산성 식물이 발달해야 어울릴 것이다. 그렇다면 어째서 한라산에 희귀한 고산식물이 살고 있을까.김문홍교수에 의하면 이는 한라산이 연봉(連峯)이 아닌 단순고립봉 형태로 ... ...
일본의 화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白砂대지)를 형성했다. 나머지 반은 상공의 편서풍을 타고 일본열도를 종단하여 동
북
지방에까지 화산재를 뿌렸다.분화는 현재의 사쿠라섬 위치에서 일어나 높이 50km에 이르는 거대한 분연기둥에서 경석이나 화산재가 내리는 분화로 시작되었다. 카노야 방면에서는 내려 뿌려 쌓인 경석의 두께가 1 ... ...
PART 1 금강산댐과 그 대응책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협의가 필수적인 전재조건임이 분명하다.이런 시각에서 금강산댐의 건설문제는 남
북
한간에 충분히 논의되어야 할 것이며, 우리측은과학ㆍ기술적인 연구검토를 거쳐 완벽한 대응책을 마련해야만 할 것이다 ... ...
세계의 대사막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사하라 사막도 축소되어 남쪽 한계가 현재의 사막중앙 아하가르 산지의
북
쪽 까지
북
상,면적이 3분의1까지 작아졌다.아하가르 산지 탓시리 고원의 신석기시대 벽화에는 사반나에 서식하는 기린이나 하마등의 대형동물과 소를 방목하는 모양이 그려져있다.페루에서 칠레에 걸쳐서 펼쳐진 아타카마 ... ...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바람은 습도가 높을 것인데도 피부로 느끼기는 상쾌하다. 수도 웰링턴의 연 평균 기온은
북
위35도선의 극동지역과 거의 같으나 여름은 오히려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다. 강수량도 약 2백40mm 정도 적으면서 연중 평균적으로 내린다. 남쪽섬의 주요도시 크라이스트처치 등 서던 알프스의 그늘에 ... ...
PART ① 수중보 설치와 물고기의 환경변화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살 수 없었지만, 상류쪽은 이보다는 악화되지 않았을 것이다. 같은 시기에 염창동의
북
쪽 난지도(蘭芝島)에 인접한 곳에서 조사한 결과는 앞의 것과 같지 않았다. 이곳은 안양천의 더러운 물이 직접 흘러 들어오지 않을 뿐 아니라 골재채취를 하기 위하여 구축된 둑으로 둘러싸인 호수 모양의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