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북"(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제 크기에 근접, 남·북위 38도 기준과학동아 l1989년 01호
- 38도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반 데르 그린텐"도법이 적도를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남·북극지방이 너무 커져 버린것을 수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유럽을 가운데 놓은 것은 가장 큰대륙인 유라시아대륙이 양분되지 않고 제대로 보일수 있기 때문이다.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날줄, ... ...
- 1년중 관찰에 가장 적합 겨울밤의 별자리 보기과학동아 l1989년 01호
- 연결해가면 마차부자리의 '카펠라'를 볼 수 있다.이어 오리온자리의 삼태성을 서북 방향으로 연결해가면 황소자리의 '알데바란'을 찾을 수 있다.이때 작은 개자리의 1등성인 '프로키온'과 큰 개자리의 1등성 '시리우스', 오리온자리의 '베텔기우스'를 연결한 삼각형을 겨울철의 큰 삼각형이라 한다. ... ...
- 매킨리 산, 산악인을 매혹시키는 야성미과학동아 l1989년 01호
- 요인을 사전에 충분히 고려한 것이다. 고도 900m가 수목한계매킨리산은 만년설아래 북극권의 아름다운 수해(樹海)로도 유명하다. 고도 900m까지 가문비나무가 촘촘히 들어서있고 고도 900m에서 만년설사이에는 갖가지 키작은 관목이 끈질긴 생명력을 지키고 있다. 이 경계지역을 툰드라지역이라고 ... ...
- 고장난 핵추진 인공위성의 위험과학동아 l1988년 12호
- 이들 사고위성중 64년 4월에 발사된 한 핵 추진위성은 아프리카 동해안 마다가스카르섬 북쪽 인도양에 추락되면서 소실되어 유해한 방사능을 넓게 퍼뜨렸다.미국은 78년 6월26일부터 7월7일 까지 유엔본부에서 개최된 유엔 외계평화이용위원회 21차 총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이같은 핵추진인공위성 ... ...
- 가장 깨끗하고 가장 깊으며, 가장 큰 담수호 동 시베리아의바이칼 호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온것으로 그 이유는 호반의 바위나 절벽이 무너져 내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학자들은 이 북서쪽 지대를 낙하지대(dropzone)라고 부르는데 이 낙하 현상은 바이칼호의 기원에 시사를 주는 것으로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즉 학자들은 바이칼호와 그 일대가 계속 침강작용을 해서 오늘날과 같은 거대한 ... ...
- 자동차관리 온라인서비스 개시과학동아 l1988년 10호
- 89년 1월 서비스 개시를 목표로 현재 시험 운영하고 있으며, 기타 경기 강원 전남북 경남북 제주지역 등은 사업소별로 수작업 원부를 입력하고, 변동자료의 처리를 실시하여 1989년 상반기에는 전국을 잇는 서비스를 개통할 계획이다.자동차관리시스팀의 서비스가 시작되면 전국 규모의 자동차 ... ...
- 멕시코에서 막대한 피해주고 북상중과학동아 l1988년 10호
- 化)한 후손이 번창하기 시작해 현재 중남미지역까지 진출해 맹위를 떨치고 있다. 북상중인 이 벌떼는 1990년에는 미국 남부지역까지 상륙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살인벌은 이미 멕시코에서 벌집 근처를 지나던 한 농부를 공격, 숨지게 했으며 가축들을 괴롭혀 축산업에 피해를 주고 있다.멕시코는 ... ...
- 인간과 동물의 기록비교과학동아 l1988년 10호
- 이 기사는 기네스 북, 브리태니커백과사전, 기록의 비교라는 책에서 자료를 수집 정리한 것이다. 인간의 한계, 동물들의 능력을 비교함으로써 우리는 ... 27.3㎞이니 웬만한 새의 나는 속도와 비슷한 수준이다.파충류의 수영챔피언은 태평양 가죽등거북으로 놀랐을 때 시속 34㎞로 수영한다 ...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과학동아 l1988년 10호
- 벅찬 일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이는 겨울의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새로운 팀의 활력을 북돋우는 역할을 할 것이다.다른 많은 시베리아 개척자들처럼 그라쳬프의 모험은 소련과학자들에게 귀감을 되고 있다.불과 백여년전만 해도 후진 농업국이었던 이 나라의 오늘의 있기까지 소련인들이 ... ...
- 「콜럼부스 신화」속의 거짓말과학동아 l1988년 10호
- 사람에겐 남반구 사람이 거꾸로 매달려 있는듯이 보이지만, 남반구 사람에겐 마찬가지로 북반구 사람이 거꾸로 매달려 있는 것이다. 모든 무거운 물체들은 우주의 중심인 지구의 중심을 향해 낙하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렇게 생각했을 때 지구의 위, 아래라는 생각은 의미없는 구분이 되는 ... ...
이전1321331341351361371381391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