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ook
책
드럼
서적
Drum
하지
하계
d라이브러리
"
북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Ⅲ 지열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1백℃ 이상의 온도는 경상남
북
도의 동남부 즉 포항-사천지역에 나타나며 그외로 충남의
북
부지역에 소규모로 나타난다. 이들은 중생대 백악기와 쥬라기에 관입한 화강암 분포지역과 밀접히 관련된다. 이들 화강암체는 앞으로 고온건조암체(HDR)지열의 탐사대상이 될 것이다.우리나라 최신기 ... ...
지구가 너무 덥고 추웠을 때 When The Earth Was Too Hot and Too Cold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온도는 으레 115℉나 그 이상 올라갔고 겨울온도는 영하였다. 만약 시베리아와 캐나다의
북
부지역처럼 기온이 험악하거나 그보다도 더 나쁜 판게아지역을 떼어내 본다면 이 형편없는 땅의 넓이가 오늘날의 그런 지역 넓이보다 8배나 크다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최고기온에 시달리던 판게아지역은 ... ...
대중적 관심 끌어내는 데는 성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물리학자 '가리펠시타인'의 저서 '물리학이여, 안녕!'을 번역한 '재미있는 물리'(팬더
북
). 물리학의 법칙과 원리가 우리 생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실험을 통해 증명해 보이며 자세한 해설을 곁들이고 있다. 각장의 소제목이 '서양장기는 왜 넘어지지 않는가' '참새가 나뭇가지에 앉았다' 등 ... ...
거친 환경에 적응한 4백여종 한국의 고산식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반디미나리 개회향 시로미 구름송이풀 나리잔대 금방망이 나도그늘사초 등 11종류는
북
부의 고산에는 분포하지만, 남산에서는 유일하게 한라산에서만 자란다. 키가 10cm인 나무한라산에서 자라는 고산식물중 암매와 시로미는 나무이면서도 키가 10cm 정도도 안되는 식물이다. 암매는 국제적으로 ... ...
대 해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규모의 물이 한꺼번에 얼음에서부터 쏟아져 나왔을 것이라고 추계했고 이 홍수는
북
부 '샤스카체완'에 언덕들을 만들었을 것이다.세계에서 가장 큰 강인 아마존은 2만입방미터의 물을 대서양에 흘려보내는데 10년이 걸린다. 허나 얼음 호수는 단지 몇일 동안에 모두 방류했을 것 같다. 따라서 이것은 ... ...
만주지역의 발해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워 해동성국이라 불렸던 발해왕국의 역사가 중국역사의 한가락으로 왜곡되어가고 있음이 중국의 최근 사서나 유 ... 마지막에는 '발해상경용천부유지는 중국역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당대의 동
북
지구역사를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가 있는 유적이다'라고 마무리했다 ... ...
껌처럼 늘어나는 금속의 마술사 슈퍼플라스틱 금속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한다.).그런데 놀랍게도 금속중에서도 이런 성질을 가진 것이 있다. 1986년 기네스
북
에 의하면 48배까지 늘어나는 금속도 있다고 한다. 일련의 특별한 처리과정을 거치면, 가열된 유리처럼 많이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성질은 금속으로는 대단히 특수하기 때문에 '슈퍼플라스틱 금속'이라고 ... ...
잊혀져 가는 옛조상의 땅 중국동
북
지방의 고구려 유적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내용을 보면 성문이 다섯곳에 있었고 성안에는 따로 놓은 망대가 있었으며 궁전의 남
북
길이가 92m였고 동서길이는 62m였다 한다. 그러나 궁전은 없어지고 포도밭과 옥수수밭이 되어 있는 그 자리에서는 연꽃무늬와 짐승무늬가 있는 기와쪽이 가끔 발견될 뿐이다.이 일대에는 고구려 때의 것으로 ... ...
농업기상학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때도있어, 참으로 천변만화(千変萬化)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서쪽에서 천천히 동
북
방을 향해서 움직이기 시작하더니 밤 3경에 사라졌다."이것은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자세한 극광의 관측기록의 하나일 것이다.●- 농업기상학이 성립되고15세기 전반기에 조선에서 강우량과 풍향등을 기기 ... ...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달을 먹으려고 덤벼들었을 때라고 믿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식(食)이 일어나는 것을 보면
북
이며 소리나는 여러가지를 시끄럽게 두들겨서 용과 같은 것이 소리에 놀라 먹이를 놓을 때를 기다렸다. 물론 이때는 식이 끝난 상태.애초부터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는 이러한 자연계의 변화에 대단히 많은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