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ook
책
드럼
서적
Drum
하지
하계
d라이브러리
"
북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1호가 착륙한
북
위 23°의 표면에 가까운 대기의 온도는 -29℃~-85℃이고, 이보다 훨씬
북
쪽인 바이킹 2호의 착륙 지점에서는 겨울 밤의 온도가 -1백℃까지 내려간다. 표면의 바위와 토양에는 서리가 내린다. 이 서리는 봄이 돼야 녹는다.지금까지 우리가 알아낸 모든 정보를 종합하면 화성이 형성된 후 ... ...
허블 망원경이 찍은 대폭풍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수 있는 지점을 통과하게 된다. 이 지점은 지구의 '하지'때와 같은 곳이다. 이때 토성의
북
반구는 태양으로부터 가장 집중적인 열을 공급받는데 이는 폭풍이 일어나기 쉽다는 것도 의미한다. 그 결과 약 30년마다 토성에선 흰점들이 관측된다.지난 1900년 가을, 토성은 하지지점을 통과하고 있었으며 ... ...
3. 최신 전자악기 총집합 디지털의 명연주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보자.드럼의 경우 우리가 스틱이라고 부르는 막대기로
북
을 쳐서 소리를 낸다. 그런데 이
북
의 위치에 광센서를 장치하고 그 위치에 스틱이 지나갈 때마다 이를 감지해 소리를 낸다. 세게 치는 경우 스틱이 지나가는 속도가 빠르므로 큰 값으로 읽고 약하게 칠때는 속도가 느리므로 작은 값을 내보내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불었다. 돛을 올리면 배는 남쪽으로 순항할 수 있었고 돛을 내리면 물결은 그들을 다시
북
으로 운반하여 주었다. 또한 태풍도 일지 않았으며 나일강은 언제나 평온하기만 했다. 무역이 활발해지고 이에 따라 강주변의 도시들이 합쳐지면서 공통의 문화와 전통을 공유할 수 있는 '국가'를 건설하기에 ... ...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있다.
북
반구의 가장 큰 고원인 이시타르테라(Ishtar Terra)는 크기가 1천x1천5백㎞로 동 서
북
의 세방향이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다. 동쪽 산맥이 고도가 11㎞로 가장 높은데 이곳에서는 용암이 흘러 내린 흔적도 보인다.남반구는 대부분 낮고 평탄한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곳은 크레이터들로 덮여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허술해진 영양물질 이동통로의 복구속도도 식물의 종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사탕무나
북
반구의 엉겅퀴는 회복이 빨리 이뤄지지만 콩이나 남방의 엉겅퀴는 매우 느린 회복속도를 보인다.열대지방에 서식하는 바랭이의 일종은 낮동안에 많은 녹말을 저장하지만 이 녹말이 밤에는 사라져 버린다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포함하는 동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에 이르는 이른바 구대륙을 왼쪽 원에, 그리고 남
북
아메리카의 신대륙을 오른편 원에 경위선과 함께 그려넣고 있다. 8폭으로 된 페르비스트의 세계지도는 곤여전도(坤與全圖)란 제호가 붙여졌는데 양쪽 끝의 한폭에는 지리적 사항이, 다른 한폭에는 천문학적 ... ...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향해 이동하는 것이다.나비처럼 미미한 생명체들이 어떻게 남으로, 그리고 다시
북
으로 1천8백마일씩에 가까운 원거리를 날 수 있는 힘을 가졌는지 의문이다. 어떻게 알에서 깬 나비들이 부모도 없이 돌아가는 길을 아는지도 알 수 없다.나아가서, 마치 이 정도는 아무 것도 아니라는 듯이,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된다. 이들은
북
아메리카의 대서양 태평양 두 연안에만 살고 있다.
북
반구에서 서식하고
북
태평양의 동서연안에 잘 나타나는 댈돌고래는 묵직하고 균형잡힌 몸집을 자랑하고 있다. 이 고래는 배부분에 흰 얼룩이 크게 찍혀 있는 것이 특징이다.새끼의 버릇을 고쳐주고고래중 가장 큰 흰 긴수염고래의 ... ...
이태규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미국행을 결심하게 됐다고 한다."당시 사표를 냈던 교수들 가운데 많은 사람들이 아직
북
한에 살아있고 제자들 가운데도 흥남질소비료공장 등에 취직시켰던 사람들이 있어 그들을 한번 만나보고 싶어요".이태규박사는 일제 식민통치가 한창이던 1931년 '일산화탄소 분해시 촉매작용에 관한 연구'로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